에피쿠로스의 네 가지 처방 - 불안과 고통에 대처하는 철학의 지혜
존 셀라스 지음, 신소희 옮김 / 복복서가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피쿠로스주의라고 하면흔히 쾌락주의로 번역된다왠지 어감에서 뭔가 흥청망청 즐기고낭비하고과시하는 모습이 떠오른다그러나 이 책의 저자인 존 셀라는 이게 큰 오해라고 말한다에피쿠로스는 무절제한 쾌락을 즐기라고 말한 적이 없다는 것.


에피쿠로스는 쾌락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분류한다. (1) 먹는 행위와 같은 동적인 육체적 쾌락, (2) 배고프지 않은 상태와 같은 정적인 육체적 쾌락, (3) 친구들과의 즐거운 대화와 같은 동적인 정신적 쾌락, (4)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는 상태와 같은 정적인 정신적 쾌락이 중 에피쿠로스가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것은 네 번째 유형의 쾌락이었다참으로 만족스러워서 어떤 걱정이나 불안도 느껴지지 않는 정적인 정신적 쾌락이걸 아타락시아라고 불렀다.


그는 무엇인가를 해야만 얻을 수 있는 동적인 쾌락보다 어떤 상태에 이르렀을 때 얻을 수 있는 정적인 쾌락이 좀 더 근본적인 쾌락이라고 보았다예를 들면 뭔가를 먹어야 느끼는 만족감 같은 쾌락보다배가 고프지 않아 편안함을 느끼는 쾌락이 좀 더 근본적이라는 것결국 우리가 뭔가를 먹는 이유는 배고프지 않기 위해서라는 논리다꼭 뭔가를 먹거나 소유하거나 하는 식의 물질적인 쾌락 말고도정신적인 차원에서도 이 논리는 그대로 적용된다.


또 하나그는 인간이 육체적 고통을 썩 잘 견뎌낼 수 있다고 말한다문제는 일어날 지도 확실치 않은 미래의 육체적 고통을 염려하느라 정신적인 고통을 겪는다는 부분이다이런 차원에서 그는 대부분의 고통이 자신이 자초한 일이라고도 말한다그렇다면 역으로 해결책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문제가 우리 마음에서 시작된다면그 마음을 바꾸면 평안을 얻을 수 있다.



언뜻 불교의 가르침과 유사하다는 느낌을 준다물론 모든 종류의 정념을 버리고 해탈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는 불교 쪽이 (그 가능성을 제쳐두고서라도좀 더 극단적으로 보이긴 하다에피쿠로스는 뭔가에 대한 욕구 자체를 악한 것으로 보지는 않으니까비싸고 부드럽고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다면 먹는 것도 문제는 아니다다만 매번 그런 것을 먹고자 버둥거리다보면 불행해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하는 정도다.


하지만 여전히 세상만사 마음먹기 나름이라는 대답이 정말 해결책인지는 확신하지 못하겠다이런 점은 죽음을 대하는 그의 태도에서 여실히 드러나는데인간이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고통은 죽음이라고 할 수 있는데죽고 나면 어차피 고통을 느끼지 못할 텐데 뭐가 걱정이냐는 투다이쯤 되면그가 정말 고통을 이해하고 있는지 되묻고 싶을 정도.


그러나 인간이 겪는 많은 고통이 결국 욕심에서 나오는 것이라는 그의 지적을 부정할 수는 없을 듯하다이 욕망의 에스컬레이터에서 내려오지 못한다면어떤 것에도 만족하지 못하는 불행한 삶을 살 수밖에.


정신적 쾌락을 강조하는 에피쿠로스가 친구의 중요성을 말하는 부분도 인상적이다최상의 정신적 즐거움과 안정감편안함은 역시 소중한 사람과 함께 있을 때 경험할 수 있는 즐거움이다끝없는 경쟁 아래서다른 사람의 것을 빼앗거나 밟고 더 높은 데로만 올라가려고 하는 이들은 절대로 누릴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에피쿠로스 철학을 알기 쉽게 잘 설명하는 책이다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미움받을 용기’ 같은 종류의 심리학과도 잘 맞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