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95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정회성 옮김 / 민음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법 유명한 책이었는데그동안 이름만 듣다가 이제야 손에 들었다미국-멕시코 전쟁에 반대해 세금(인두세)납부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수감되기도 하고이후 시민불복종이라는 책까지 내기도 했다는 소로라는 인물에 대해서는 아주 약간 알고 있었고그가 월든이라는 호숫가에 직접 집을 짓고 살아가면서 쓴 책이 바로 이 작품이라는 것까지가 선지식의 전부였다.


책은 열여덟 개의 에세이 모음집이었다하나하나가 단편이기도 하면서모두 월든 호숫가에서의 삶을 그리는 다른 시각들을 담고 있다물론 내용적으로는 서로 매우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서제목을 보지 않고 읽다보면 같은 얘기가 쭉 이어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가장 두드러지는 면은 강한 자연주의적 태도이다책 전반에 걸쳐 매우 상세하게 자연을 묘사하면서(이 부분이 조금 지루하게 느껴지기도 할 정도로 길다), 사람들의 부자연스러운 모습을 비판한다예컨대 한 에피소드에서는 근처의 땅 위에서 벌어지는 개미들의 싸움을 생생하게 중계한다.


이 때 비판의 중심은 지나친 탐욕과 그로 인한 파괴자연의 목소리를 듣지 못하는 모습들인데또 그렇다고 모든 종류의 개발을 반대하는 건 아닌 게철도와 같은 당시로서는 최첨단의 문명이 들어오는 것엔 또 적극 찬성하고 있으니까오히려 좀 더 자신을 계발해 가지 않는 게으른 사람들 또한 작가의 비판 대상이기도 하다.

 

조금 혼란스러운 기준인데결국 작가의 성격에 따른 분류가 아닌가 싶다많은 사람들을 얕게 만나는 것보다 소수의 친구를 깊게 사귀는 걸 더 좋아하고시끄럽게 떠드는 것보다는 조용하게 사색하는 걸 더 즐기고한 편으로는 그저 눈앞의 현실에만 집중한 채 안주하는 듯한 삶보다는 인류의 진보에 관한 희망을 품고 있는 그런 성격 말이다.

 


사실 이 책이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게 된 건작가 자신의 사상도 사상이지만여기에 묘사되어 있는 19세기 미국의 자연에 관한 세심한 기록 때문인 것 같다세워진 지 얼마 되지 않은 나라이니 문화적으로도 독자적인 자산이랄 게 없었고이런 책이 꽤나 귀하게 여겨졌을 법하다는 건 충분히 공감이 된다.


많은 사람들이 전원생활을 꿈꾸고시골에서의 한적하고 자급자족적 삶을 기대하는 오늘날에도 오히려 이런 그림은 더 잘 와 닿을 수도 있겠다 싶으면서도사실 자연이라는 게 그렇게 낭만적이기만 한 곳이 아니라는 걸 알기에 또 무작정 동조하기는 어렵기도 하다아울러 자연에 대한 숭배에 가까운 찬탄은 시인에게는 필요한 자질일지 모르나합리성을 포기하기 어려운 독자(나를 포함해서)에겐 조금 간지러운 아부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내용이 심오하고 어려운 건 아니었지만글의 호흡이 길어서 단숨에 읽어가긴 어려웠다.(며칠이나 걸려서 겨울 읽었다물론 다루고 있는 소재에 대한 호불호도 약간 영향을 끼쳤고어쩌면 단지 지금 내 상황에는 조금 한가하게 느껴지는 이야기들이었기 때문이었을지도 모르겠다조금 더 후에원하던 시골의 마당 있는 집에서 책 읽고 글 쓰는 삶을 살 수 있게 된다면 좀 더 와 닿을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