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술.


영화는 죽은 사람들을 주술의 힘으로 다시 살려낸다는 설정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되살아난 존재들은 엄청난 힘과 운동능력으로 목표가 된 대상을 살해하는 데 집중하고는목적을 이룬 후에는 흙 인형처럼 부서져 버린다.

 

꼭 좀비를 떠올리게 하는 이 존재는 영화 속에서 재차의라는 이름으로 불린다요새 흔히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좀비와 다른 점이 있다면재차의는 그것을 만든 주술사에 의해 전적으로 조종된다는 것하지만 뭐 좀비의 원형이 되는 전설에도 부두교의 주술사가 등장하니 비슷한 걸까.


보이는 인간은 모두 공격하는 좀비와 달리 이쪽은 공격하는 이유가 존재하기에 단순히 쫓고 쫓기는 경주보다는 사연을 추적해 나가는 맛이 있다때문에 영화는 레지던트 이블보다는 전설의 고향에 좀 더 가까운 느낌이다우리의 옛 전설 속 귀신들이 그러하듯이 재차의에도 슬픈 사연이 존재했으니...




 


사과.


재차의를 만든 주술사는 한 제약회사의 회장과 임원들에게 사과를 요구한다사과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관련자들을 하나씩 살해하겠다는 협박과 함께영화가 진행되면서 사건의 원인에 제약회사의 불법적인 인체실험이 있었음이 드러난다처음에는 노숙자들을나중엔 불법체류자들을 동원했고실험에 끌려간 이들이 모두 사망했다는 이야기.


하지만 현실 세계의 수많은 기업들이 그러하듯영화 속 기업의 회장도 좀처럼 사과를 하려 하지 않는다그리고 이 때부터 우리는 누구를 응원해야 하는가 하는 고민에 빠진다백 명이 넘는 사람들을 죽이고도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기업과 죽은 백 명을 살려내서 그 기업에 복수를 하겠다는 주술사 중 누가 더 나쁜 놈일까.


기업범죄의 상당수가 경영행위로 판단되어 관대하게 넘어가는 우리나라에서이런 질문은 더욱 와 닿는 것 같다자기가 일을 시켜서 사람이 죽어도 경영자에게는 아무런 손해가 없는(현장 관리자만 처벌받는상황에서비용감축을 위해 사람을 갈아 넣는 일이 발생하는 건 너무나 당연한 결과다그들이 늘 언제나처럼 사과를 건너뛰고, ‘몰랐다’, ‘안타깝다’,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뻔뻔한 립 서비스만 하고 넘어가는 건, 7할은 책상물림으로 그 자리에 오른 사법부 책임이다.

 






짜임새.


영화의 스토리는 기본적으로 드라마로 제작된 전작을 이어받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드라마를 직접 보지는 못하고유튜브에 올라온 요약 홍보 영상만 봤다). 주인공인 독립언론 기자 진희(엄지원)와 방법사(주술사와 비슷한 의미소진(정지소)의 관계는 영화에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다전작을 보지 못한 상황에서는 두 사람의 대화가 충분히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겠다.

 

사실 이런 영화가 캐릭터 쇼라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는데방법사 역의 소진이 이번 영화에서 보여주는 부분이 매우 적어 보인다오히려 기자로 이리저리 사건을 따라가기만 하는 진희의 분량에도 못 미치니까... 사건을 시원하게 해결하는 데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해버리면이 캐릭터 쇼가 계속 이어질 수 있을까.


영화는 앞서 언급했던 전설의 고향’ 식의 권선징악으로 결말을 내려고 했던 것 같지만이 부분도 그리 시원치는 않다최종 흑막을 처리하는 방식은 지나치게 가볍고그에 앞서 희생된 수많은 사람들은 어느 샌가 잊혀버렸다사실 이런 내용들을 충분히 풀어내는 데는 영화보면 드라마가 좀 더 적합한 플랫폼이었을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