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
모토히로 카츠유키(Katsuyuki Motohiro) 감독, 사토 타케루 외 출연 / SM LDG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731부대의 후예.


     영화는 죽지 않는 특별한 인종인 아인(亞人)’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진행된다말하자면 일종의 초능력물인데이런 특별한 존재를 다루는 헐리우드의 시선과 이 영화가 얼마나 다른지 주목해 보는 것도 흥미롭다원더우먼이나 슈퍼맨 같은 존재들은 지구를 구하는 히어로로 활동하는 반면이 영화 속 아인들은 일본 정부에 의해 감금된 상태에서 온갖 종류의 생체실험의 대상이 된다그런데 그 생체실험이라는 게 팔 다리를 톱으로 잘라내고독가스를 마시게 하고 하는 수준이니...


     영화의 첫 장면을 보는 거의 동시에 떠올랐던 게 과거 일제가 동아시아를 침탈했을 때 운용했던 생체실험 부대인 731부대였다수많은 조선인들도 이 마귀들에게 잡혀가서 온갖 실험을 당하다 죽어갔고그 결과물로 일본 녹십자(미도리주지)가 만들어졌다는 건 익히 잘 알려진 사실.(영화 속에서도 언뜻 이를 떠올리게 하는 대사가 등장하기도 한다.)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이긴 하지만이런 식의 사건이 뻔히 자기들의 과거를 떠올리게 한다는 걸 알 수 있었을 텐데굳이 이런 장면으로밖에 전개시키지 못하는 걸 보면 이쪽은 정말 몰역사의식의 극치를 달리는 사람들인 건지참고로 이 소재는 제대로 문제의식을 갖고 묘사되지 않고그저 주인공 중 하나인 사토(아야노 고)가 테러를 일으키는 이유로만 등장한다한쪽은 생체실험반대쪽은 테러.. 이건 뭐...



 



오직 나만 살면 돼.


     실은 이런 특별한 존재들이 사회로부터 받는 이중적인 시선은 앞서 언급한 헐리우드 영화에서도 여러 차례 다뤄진 바 있다어벤져스들은 일종의 규약에 의한 제제를 스스로 받아들였고엑스맨 시리즈의 뮤턴트들도 굉장히 조심하며 활동한다배트맨과 슈퍼맨의 갈등도 그 핵심에는 특별한 능력을 가진 존재가 가지는 위험성에 관한 철학적 고민이었고.


     물론 헐리우드에도 (영웅이 되기를다 때려치우고 자기 욕구를 분출하는 능력자들이 있었다그런데 그들은 대개 빌런화되어서 무찔러야 할 대상이 된다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등장하는 인물 모두가누군가를 보호하고 지키겠다는 생각은 전혀 없고그저 자기 한 몸 보전하고원수를 갚는 데만 집중한다.


     영화에서 가장 이해가 안 되는 캐릭터는 테러를 막는 쪽에 선 나가이(사토 타케루)인데영화 초반 팔 다리가 마취도 없이 잘려나가던 인물이다하지만 그는 자신을 구해준 사토가 사람(생체실험 연구소의 경비들)을 쉽게 죽이는 모습을 보고 그와 손잡기를 거부하는데이쯤 되면 뭔가 휴머니즘에 입각한 행동을 할까 싶지만 그나마 선택적 휴머니즘이라는 게 한계그의 휴머니즘에는 20년 동안 생체실험을 당했다던 사토나(이 점이 테러 행위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동정심이 생기는 이유다), 인간 이하의 대우를 받는 다른 아인들은 들어가지 않는 모양.


     결국 그는 자기 한 몸 구해 도망치는데애초에 그럴 거면 굳이 실험실 인간들에게 협조해 사토를 잡아 죽이게 만든 이유는 또 뭔지그냥 엉망진창이다.

 





실사화의 실패.


     요새는 우리나라도 그렇지만일본은 특히나 만화를 원작으로 한 실사화 영화들이 자주 보이는 것 같다다만 이 경우 제대로 된 작품이 어지간해서는 나오지 않는다는 게 한계인데만화라는 매체가 가질 수 있는 특유의 과장된 정서가 실사화 될 경우 매우 어색하기 때문이다이 영화에서도 그런 모습들이 자주 발견되는데우선 액션신이 너무 허접하고캐릭터들은 하나같이 잔뜩 허세가 들어가 있다깊은 내면 연기를 하지 못하는 배우들이 내뱉는 대사들은 그냥 대본책을 읽는 듯한 느낌이고.


     무대가 달라지면 그 무대에 맞춰 발성부터 동선표정속도리듬 등 모든 것이 최적화되어야 한다영화와 뮤지컬은 다르고만화와 영화는 또 다른 법이다심지어 영화와 드라마도 달라져야 하니까그냥 카메라 앞에서 만화 캐릭터를 연기하려고 해서는 제대로 된 영화가 나올 리 없다여러 모로 답답한 결과물많은 일본 실사화 영화들이 이런 식으로 허접한 구성을 보이거나아예 뜬금없는 안드로메다로 빠지는 철학을 되뇌이거나 하는 식이다.

 





     뭐 이런 영화를 좋아하는 관객도 어딘가에는 있을지 모르니까관객에 맞는 작품 수준이 나오는 거겠지 싶으면서도잔잔한 일상 가운데 진한 감동을 주는 특유의 분위기 있는 작품도 종종 보이는 걸 보면좀 더 장점에 집중하는 게 어떨까 하는 아쉬움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