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구조론에 따르면, 지구의 육지라는 건 거대한 판 위에 올라가 있어서 그 판이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고 한다. 두 개의 판이 부딪히면 높은 산맥으로 솟아오르거나, 한 쪽 판이 다른 쪽 판 아래로 깔려 내려가는데, 이 때 큰 충격이 일어나 지진이 일어나게 된다. 또 판이 부드럽게 위아래로 흐르는 게 아니라, 엄청난 마찰력으로 인해 지표가 함께 끌려 내려가는 현상도 일어날 수 있다. 이 영화 일본 침몰은 바로 그런 충격 때문에 일본 열도가 가라앉게 된다는 설정을 배경으로 한다. , 충분히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소재라는 것.

 

     주기적으로 일어난다는 후지산의 분화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소문도 있고, 가까운 미래에 엄청난 규모의 대지진도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도 심심찮게 들린다. 확실히 일본은 이런 종류의 재난에 대한 근본적인 두려움을 갖고 있는 듯하다.

 

 

 

 

     문제는 이 정도 규모의 재난이라면 그런 게 일어날 거라는 걸 미리 안다고 해서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 없다는 것. 영화 속에서는 엄청난 폭발력의 폭탄을 여러 개 동시에 터뜨려서 끌려 내려가는 판의 끝 부분을 분리시킨다는 설정을 보여주지만,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당장 몇 년 전 경주와 포항 등지에서 발생한 지진의 원인이 겨우 지열발전을 위해 땅속으로 물을 집어넣었기 때문이라는데, 판을 끊어낼 정도의 폭발로 인한 뒷감당은 어지간할까.

 

     하지만 뭐 상업영화를 만들려다 보면, 뭔가 좀 허황되더라도 해답을 보여주어야 하고, 여기에 젊은 남녀 주인공들 사이의 연애도 넣어야 하고, 이런 성격의 영화라면 성격 좀 괴팍한 박사 한 명과 그 카운터 파트너가 될 차분한 정부측 인사도 넣고(그 둘이 전 부부라는 설정은 왠지 익숙하고) 해야 하는 거지 뭐

 

     여기 저기 익숙한 클리셰들의 남발에다, 2000년 대 중반에 나온 영화라고 하지만 대규모 재난영화에서 중요한 CG도 약하다. 전반적으로 만듦새가 부족한 건 사실이다. 그나마 최악을 막아 준 건 아역인 후쿠다 마유코가 맡은 미사키라는 캐릭터. 지진으로 부모를 모두 잃고, 동네의 어린들의 손으로 키워지고 있는 소녀인데, 영화 속 재난을 더욱 슬프게 만들어주는 상징과 같은 존재다. 가끔씩만 비춰지지만 나올 때마다 시선을 집중시키는 신 스틸러.

 

 

 

 

     영화 속 일본 총리가 했던 말이 인상적이다. 그는 각계의 전문가들과 함께 당면한 미증유의 위기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는데, 그 결론 중 하나로 나온 것이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였다. 사실 전 국토가 물속으로 가라앉는 상황에서 인력으로 할 수 있는 게 없다면, 사랑하는 사람들과 마지막 시간을 함께 보내다가 끝내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 것도 충분히 이해가 간다.

 

      영화와 동일한 것은 아닐지 모르지만, 어쩌면 2020년을 살아가는 우리도 비슷한 느낌을 받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코로나19라는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휩쓸고 있고, 죽은 사람만도 수만 명이 넘어가는 상황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도 그저 접촉을 줄인 채 집에 머무는 것뿐이니까

 

     ​바이러스는 결국 극복되겠지만, 이미 이곳저곳에서 인류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재앙들이 일어나고 있다.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지구는 점점 더워지고 있고, 기상 이변은 빈도를 늘려 가 더 이상 이변이라고 부를 수 없어지고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이제 태평양 한 가운데 섬을 만드는 것을 넘어 비에 섞여 내리고도 있고, 매일매일 발생하는 엄청난 양의 쓰레기도 쉽게 처리할 수 없는 문제다.

 

     ​우리는 영화 마션 속 대사처럼, 또다시 답을 찾을 수 있을까. 그 영화의 감독은 늘 그래왔다고 말했지만, 어쩌면 우리는 아직 진짜 위기를 마주하지 못했을 뿐인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