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해가는 동물원을 살리기 위해 직원들이 동물 탈을 쓰고 벌이는 코미디를 다루는 영화다. 전반적으로 가벼운 터치를 통해 웃음을 이끌어내는 구성을 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어떻게든 성공하기 위해 간신히 들어간 로펌 대표의 지시로 동물원을 살리고자 엉뚱한 계획을 내놓는 주인공 강태수(안재홍)의 분전이 눈에 띤다.(다만 잘 뜨지는 않는 듯)

 

     ​다 망해버린 동물원의 무기력한 직원들 중에는 역시 단연 강소라가 눈에 띠는데, 생각만큼 개성 있는 캐릭터를 보여주지는 못한다. 나머지 배우들도 거의 그럭저럭 선방 수준이고. 그리고 웹툰과는 달리 직접 사람이 들어가서 연기하는 동물들의 모습이 얼마나 실감날까 하는 부분이 살짝 걱정됐는데, 역시나 좀 아쉬운 부분이 많다. 덩치가 큰 북극곰이나 고릴라 정도는 조금 볼만 했지만

 

     한 마디로 말하자면, 웃으라고 만들었는데 생각만큼 크게 웃기지 않았던 영화

 

 

 

 

     감독은 그냥 코미디 영화를 만들고 싶지 않았던 것 같다.(개인적으로는 이 때문에 충분히 웃기지 못했다고 본다) 주인공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동기들과 달리 이제야 겨우 비정규직으로 로펌에서 일하기 시작한 상태다. 자기 한 몸 망가지더라도 성공을 하고 싶지만, 또 다른 사람들을 짓밟고 그 자리에 올라가기에는 천성이 착한 그런 인물. 사실 얼굴 부터가 살짝 뭔가 억울한 일을 당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여기에 그가 맡게 된 동물원을 인수한 것은, 사실 로펌 대표의 비자금을 관리하는 페이퍼 컴퍼니였고, 대표는 동물원의 몸값을 올려 그 지역에 대규모 리조트를 개발하려는 회사에 비싼 값에 팔려는 속셈이었다. , 동물원이 잘 되더라도 곧 사라질 운명이었다는 것. 영화 속에서는 이게 몇 마디 말로(허영심이 잔뜩 있는 개발회사의 대표와의 협상으로) 어찌어찌 해결되는 그림이었지만, 실제 세계에서 이런 식의 부동산 투기와 유령회사를 통한 축재들이 얼마나 많이 일어날까.

 

     ​애인(전여빈)의 등을 쳐 먹고 나중에는 동물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로펌 대표에게 알려 일을 망치려는 남친 같은 짜증나는 캐릭터에 제대로 반격이 가해지지 않은 부분도 살짝 아쉽다. 아무래도 이런 영화는 나쁜 놈들에게 한방 크게 먹여주는 게 또 제 맛인데 말이다.

 

 

 

 

 

     이런 저런 요소들이 썩 잘 버무려지지 않은 느낌이다. 이 경우에는 영화의 관객 수가 모든 것을 말해주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