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불과 얼마전의 일이다. 전국을 들썩이게 한 사건이 일어났다. 신문지상에는 이 사람 이름과 사진이 큼지막하게 걸렸고 티비, 라디오는 연일 그 사람 이름만 떠들어댔다.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만들어지고 이렇게 엄청난 사건을 일으킨 적이 있었을까 할 정도로 큰 범죄적 이슈를 만들었던 사건. 그때도 많은 말들이 있었다. 이런 사람들을 죽이지 않고 어떻게 사회 정의가 구현되느냐! 당장 사형시켜야 한다라는 강경한 만들이었다. 한동안 사형시키면 안된다고 하는 여론이 사회 전반에 퍼졌었는데 그 사건으로 말미암아 거리마다 온통 CCTV가 설치 되었고 사형제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형벌로 각인이 되어 버렸다.

사형제도

우리나라는 현재 형법상으로는 사형제도가 존재하고 있지만 사실상 사형 폐지국이라는 명칭을 달 고 있다. 사형제도가 사법상으로는 있지만 사형을 집행한지가 10년이 넘어 2007년 사실상사형 폐지국으로 되었고 그 후로 2년이 지난동안에도 사형 집행은 이루어 지지 않았다. 사형은 예로부터 의견이 분분했다. 과연 사형이라는 제도가 극악무도한 범죄들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까? 있다. 없다. 말들이 많았다. 사형제도 존치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범죄예방 효과와 피해자들에대한 보상 심리때문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폐지론자들은 사형을 가장 많이 집행하는 나라들이 과연 강력범죄률이 적느냐를 따져보면 효과라는 것이 과연 있느냐고 반문을 한다.

이 책의 저자인 공지영작가는 사형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보인다. 여기서 주인공인 윤수는 전과 5범이지만 극악무도한 강간살인, 살인 행각을 벌이지 않았다. 죄를 뒤집어 썼을 뿐이고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여 그러한 범죄를 저지르지 않았다고 주장하지 않았을 뿐이다. 그래서 그는 사형수가 되었다. 그는 그렇게 죽었다. 하지만 그가 죄를 짓지 않았다라는 것이 뒤늦게 세상에 알려져도 그는 다시 살아날 수 없다. 심판은 사람이 하는 것이다. 사람은 신이 아니다. 모든 진실을 사람이 다 알 수는 없다. 심판이 틀릴수도 있다. 무기징역, 벌금형은 틀렸으면 되돌리면 된다. 벌금은 돌려주고 징역형은 산만큼 국가가 보상을 해주면 된다. 하지만 사형은 죽은 사람은 되살릴 수 없다. 그점을 말한다.

주인공의 심리변화, 15년전의 상처가 치유되는 심적과정, 무심한 어머니와 그 어머니를 마음속으로 용서해 과는 과정 등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지만, 나는 그것 보다 사형의 존폐에 더 관심이 갔다. 전공이 그래서 그런지 심리묘사보다 더욱 그 부분에 관심이 가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전체적으로 훌륭한 수작인것 같다. 사람들의 심리묘사와 사형에 대한 날카로운 감각, 인간의 자아가 성숙해 가는 과정 갈등이 고조되고 갈등이 해소되는 그러한 모습 등. 커다란 히트를 하고 영화로도 만들만큼 재미있는 소설이었다. 하지만 소설이라고 마냥 생각하기엔 주제가 너무 무겁다. 작가가 의도했던 의도하지 않았던 간에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 클럽
메리 앤 셰퍼.애니 배로우즈 지음, 김안나 옮김 / 매직하우스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유럽의 모습이다. 채널제도라고 하는 프랑스와 영국의 사이의 구역이다. 구글 위성사진으로 본 모습인데, 우리나라 다음에서도 꽤나 멋진 항공사진 서비스를 만들었는데 그건 국내에 한정되어 있어서 어쩔 수 없이 구글 사진을 빌어 보았다.


  이 위성사진에서 내가 보고 싶은 Guernsey라고 적혀 있는 조그마한 섬을 찾아 보고 싶어서 검색해 보았다. 이 섬이 이 책의 중심 무대가 되고 있는 건지 아일랜드 이다.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 클럽은 건지 아일랜드라는 섬에 있는 독서 클럽 이름을 칭하는 말이다. 처음에는 무슨 뜻인지 몰라 오랫동안 고민하게 한 제목이었다.


  참 좋은 세상이다. 궁금하면 찾아 볼 수 있고 찾으면 풍경까지도 볼 수 있다. 집에 앉아서 전 세계를 유람할 수 있는데 책을 읽고 나서 아날로그적 감성에 흠뻑 젖고 나서 바로 이런 검색을 해서 사진을 보고 있다는 것이 좀 웃기기는 하다.

  처음부터 끝까지 편지로만 이루어져 있는 책이다. 첫글을 읽고 편지의 형태여서 축하의 메시지인줄 알고 대충 흘려 보다가 20~30페이지 읽고 다시 처음부터 읽는 헤프닝을 겪기도 하였다. 보통 책을 볼때는 사전 정보는 거의 보지 않고 읽기 때문에 이런 당황스러운 일이 있기는 하는데 그것 또한 글을 읽는 매력이라 생각하고 꿋꿋하게 사전 내용을 파악하지 않고 글을 읽는다.

  방금 이용한것 처럼 위성 사진을 보고 플리커 or 구글 사진에서 사진을 뒤져서 어떤 곳인지 파악하는 신속하고 인터넷이 만연한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하지만 전화마져 귀하던 시설에는 어떻게 연락하고 어떻게 새로운 사람과 이어지고 살아왔을까? 이러한 물음에 웃으며 해답을 주고 있는 책이다.

  정말 따뜻함이 물씬 풍기는 책이다. 내 생각을 전하기 위해서 전화기를 이용하는 것보다 편지 쓰는 것을 더 좋아하던 시대의 사람들, 우편배달부가 언제나 오나 하고 손꼽아 기다리면서 편지를 써내려가는 느낌, 그런 과정을 통해서 깊은 우정을 만들어 가고 있는 여러 사람들. 픽션이면서도 이 편지들이 사실이 아닐까? 다음 편지에 대한 애뜻함이나 기다림등이 작가의 상상력이 아니고 실제가 아닐까 하는 착각마져 들게 한다.

  잠깐이지만 e-mail이 유행하던 시절이 있었다. 컴퓨터가 처음 생기고 사람들이 너도나도 mail을 만들던 시절 그땐 종이가 모니터로 옮겨갔을 뿐이었던 시절이었다. 활발히 사람들이 메일을 주고 받고 설렘이 남아 있었다. 하지만 몇년 지나기도 전에 메신저, 메시지, SMS등이 범람을 하면서 필요하면 10초이내에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게 되었다. 그때의 설렘이나 긴장감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보다 삶이 윤택해졌고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되었지만 뭔가 안타까운 마음만은 쉽사리 지울 수 없게 된 것 같다. 이젠 우체통 하나 찾아보기 어려운 날이 되었다. 편지지에 곱게 쓴 우편 보내기가 어렵다면 이메일이라도 주변 지인들에게 한번씩 보내면 어쩔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 MBC 느낌표 선정도서, 보급판
J.M 바스콘셀로스 지음, 박동원 옮김 / 동녘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어지간히 무덤덤한 나여서 그런지 보통 감동적인 영화나 책을 읽어도 눈감 껌뻑껌뻑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제까지 단 한권 눈물을 글썽이게 한 책이 있었다.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

  이 책을 접한지는 10년 이상이 되었다. 아니 15년 이상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세월이 어떻게 갔는지 모르게 지금도 이 책을 한시간 잡고 있으면 눈물이 그렁그렁 맺힌다. 참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제제라는 어린아이가 나오고, 포르뚜까라는 어른이 나오는 아름다운 이야기. 지독한 악당도 나오지 않고 절대적 악이라는 개념도 나오지 않는다. 그냥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람들, 흔히 볼 수 있는 이야기들이 주제이다.

  그런데 그 속에서 아이와 어른의 우정, 그리고 어린이가 어린이다운 순수함에서 멀어져 가는 것에서 참으로 짠한 마음이 들었다. 다시 봐도 정말 감동적인 아름다운 이야기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지의 제왕 - 전7권 세트 (반양장)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지음, 이미애 외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요즘 인터넷이 뜨면서 있었던 장르였지만 우리나라에선 인기가 없던 판타지라는 장르가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판타지라는 장르는 기성세대들이 보기엔 말도 않되는 헛소리만 늘어 놓은 이야기라고 말하겠지만 이 장르도 상당히 흥미 있고 문학적으로도 뛰어난 장르이다. 이 톨킨의 반지전쟁은 그 판타지 소설의 모태가 되는 소설이다. 북구신화 아일랜드 신화가 섞이면서 만들어진 이 소설은 주제의 참신성과 뛰어난 문체로 세계의 고전 그리고 세계문학이라는 목록에 이미 올라있다.

지금의 판타지 소설을 읽고서 이 책을 읽으면 당연히 심심하다는것을 느낄수 있다. 판타지소설 하면 마법이 난무하고 화려한색으로 칠해지는 책이라는 선입견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선입견으로 보면 한없이 따분한 문학소설일 뿐이다. 주인공의 심리와 상황에 스스로 빠져서 생각해보면 재미와 아찔한 흥분을 느낄수 있을 것이다. 판타지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과 판타지 소설이란 어떤 것일까 하고 의문을 품는 사람들 그리고 상상력을 잃어 가고 세상에 묻혀 있는 아버지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사들의 제국 - 상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보면서 나는 혀를 내두르지 않을수 없었다. 과연 인간의 상상력이란 어디까지 인가 하고, 과연 그 끝을 알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말이다. 정말로 이 책은 이제까지 보아 왔던 상상력의 위대함을 느끼게 하는 책이다. 반지전쟁을 보면서 느꼈던 충격을 세삼 느낄수 밖에 없었다. 이 책의 저자는 베르나르 베르베르라는 작가로 본국에서보다 한국에서 더욱 인기 있는 작가로 본국에서는 베르나를 베르베르는 한국에서 먹여 살려주고 있다라는 우스게 소리까지 나올 정도 이다.

그정도로 이 작가의 책은 우리나라에서 유명하고 또한 나오는 족족 배스트 셀러에 이름이 올라간다. 개미, 개미혁명등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책이 그의 책이다. 이 책은 타나토노트라는 그의 책의 후속편으로 전작에서의 주인공이 죽어서 심판을 받고 천국에서 천사라는 직함을 받게되고 사람들의 수호천사로서 올바르게 행동하도록 인도하는 사명을 갖고 활동하는 것으로 나온다. 정말로 흥미진진하고 그 상상력에 혀를 내둘를수 밖에 없는 책으로 삶에 지친 공부에 지친 우리에게 시원한 한잔의 물을 마신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하여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