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商略, 상하이 상인의 경영전략 : 上海 중국기업 중국상인의 경영지혜 1
장쥔링.지아궈씨 지음, 강경이 옮김 / KD Books(케이디북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짱깨, 떼놈이라고 부르면서 중국을 무시하던 시절이 있었다. 거대한 땅떵어리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우지 못하고, 생활수준이 현저히 낮아서 무시하고는 했었다. 하지만 200년 전에는 형님의 나라 상전의 나라라고 떠 받들여지던 나라였으며 아시아의 모든 나라들이 전부 중국이라는 나라의 영향을 받지 아니한 적이 없는 무시할 수 없는 잠재력을 가진 나라이다.

  어떻게 우리는 중국이라는 나라를 무시할 수 있게 되었을까? 그것은 중국이라는 거대한 나라가 한순간에 후진국으로 밀려남으로 예전에 억압받았던 정서가 분출이 되서 그런것은 아닐까? 하지만 우리가 간과한 것이 있는데, 우스게 소리인지 속담인지 '고기도 먹어본 놈이 안다'라는 말이 있다. 실패한 경제체계로 한순간에 후진국으로 밀려 났지만 몇천년동안 가지고 있던 세게를 주름잡던 능력까지 너무 무시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사회주의의 실패로 경제적 능력이 바닥까지 떨어 졌다. 하지만 그들은 소련처럼 연방으로 분리되고 근근히 버티지 않고 과감하게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한다. 공산정치체제에서 시장경제를 도입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체제를 무너뜨릴수 있다는 불안감이 있을 수 있지만 그들은 과감하게 실행 하였다. 그렇다고 체제가 무너지지 않았다. 아직도 사회주의체제를 유지하고 있고 그래도 가파른 경제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정치체제와는 관계없는 그들만의 경제논리가 있다는 말인데. 그것중 하나를 저자는 상하이에서 찾고 있다. 가장 먼저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한 도시, 가파른 성장과 순식간에 도시가 바뀌어버린 경제성장의 중심인 상하이에서 상하이인들 상하이 출신들의 이야기로 책을 가득 메우고 있다.

  어떻게 그들은 가파른 경제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었을까? 그 저력은 무엇일까 어떠한 정신이 있었길래 개방한지 30년이 되지 않는 시기에 어마어마한 성장을 이루어 냈을까? 그것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서 책은 시작한다.

  한마디로 상하이인들의 특성은 도전정신, 치밀한 계산, 그리고 다른 곳에서 성장에도 다시 상하이로 돌아오는 회귀성을 특징으로 말을 한다. 수학선생하다, 교수직을 하다 좀더 나은 삶을 위해 과감하게 상업계로 뛰어든 사람들. 미국에서, 호주에서 전세계에서 부를 축적하고 자신의 고향 상하이의 발전을 위해 상하이로 복귀하여 사업을 벌인 상하이인들 그들의 행적을 하나하나 살핌으로서 그들의 성공 경영전략을 알아보자 하는 내용이다.

  재미는 있었다. 단순히 중국의 고전 그리고 역사에만 관심을 기울였는데, 상업적인 능력에서 중국을 바라보니 생각할 점과 배울점이 많은 나라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책 편집이 너무 사실 나열에만 치중하다 보니 종국에 가선 살짝 지루한 면도 없지는 않았다. 한번쯤 중국의 상업이 어떻게 하여 이렇게 가파른 성장을 이룰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진다면 추천해 보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r.손 직장에서 살아남는 기술
허위에샨 지음, 이은희 옮김 / 글로세움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책의 내용과 제목이 좀 상이하다는 느낌이 든다. 직장에서 살아남는 기술이 아니고 성공하는 기술에 대해서 쭉 나열하고 있다. 한번쯤 들어본 주제의 내용이다. 하지만 항상 들어도 고개를 갸웃 거리고 실천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열거되어 있다.

  왜 실천하기 어려울까? 원래 가장 근본적인 문제가 실천이 가장 어려운 법이다. 사람들은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에 대해서는 손쉽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어렵다 어렵다 하면서 쉬이 해결하는 그런 제주 말이다. 하지만 굉장히 쉬운 주제 그리고 지속적으로 행동해야 하는 주제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한다.

  이런류의 책은 항상 주제와 내용은 똑같다. 포장을 어떻게 하느냐가 다를 뿐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항상 그 내용을 잊는것 같다. 늘 볼때마다 새롭다는 느낌이 드니 말이다.

  재미있는 책이었다. 산문형식이 아닌 이야기 중심으로 풀어나가 누구라도 쉽게 책을 접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그런데 대부분의 이런 책들이 하는 그런 형식이 막판에 없어서 좀 아쉬웠다. 이런 종류의 이야기는 사람들이 스토리에 흥미를 보이고 정작 중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잘 살피지 않아 마지막장에 요약해서 보여주고는 한다.

  별로 대수롭지 않은 행위인것 같지만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요약해준 것을 보면서 이야기 전체를 곱씹어보는 계기가 되어 다시한번 내용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것만 빼면 대체적으로 무난했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법의 지갑 - 당신의 부를 깨워줄 마법 같은 6가지 지갑이야기
신인철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처음 책을 접하고는 무척 놀랐다. 지갑모양으로 된 독특한 앞장식도 신기했지만 자석으로 만들어 실제 지갑을 여는듯한 느낌을 주도록 만든것에 참으로 신선한 느낌을 받았다. 책의 내용은 그리 길지는 않다.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 나가는 이야기라서 그런지 거부감이나 어색함은 들지 않았다.

  부자 5명이서 하나의 진리를 하나씩 가르쳐 주는 이야기 이다. 나는 이렇게 돈 벌었다. 나는 이렇게 돈을 벌었다 하면서 자본을 지갑에 빗대서 말한다. 과연 하고 고개를 끄덕여 지는 내용도 있었고 갸웃갸웃 하게 하는 이야기도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5개의 이야기중 상호 모순되는 이야기도 있다는 것이다. 이야기 안에서는 자연스럽게 풀어가고 있지만 듣는 사람 입장에선 애매한 이야기가 되고 마는 것이다. 돈은 최대한 쓰지 말아라, 돈을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이렇게 말이다. 돈을 쓰지 말라고 하고서는 돈 사용할줄 알아야 한다는 말은 무슨 말인가?

  저자는 돈을 사용하지 않되 돈을 너무 안쓰는 인상을 남겨 주어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빈축을 사지 않게 하지 말라는 말과 적정하게 쓰고 큰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사용하라고 말을 한다. 모순되는 말들 속에서 크게 깨닫게 하려는 의도인것 같다.

  전체적으로 재미있는 책이었다. 2시간안에 금방 읽을 수 있을만큼 짧은 분량과 많은 그림들 그리고 커다란 글씨체로 읽기 편했다. 정말 간결하고 산뜻하게 돈버는 방법을 말해 주고 있다. 이대로만 한다면 다 부자가 될 수 있다라는 식으로 말이다.

  너무 짧다고 유치하거나 시시한 책은 아니다. 그리고 한번 보고 또 봐도 될만큼 내용도 짧고 전하는 메시지는 많다. 그래서 그런 것일까? 두꺼운 양장본에 특이한 장식까지 달려 있다. 진짜 지갑처럼 말이다. 한번쯤은 읽어 나쁘지 않은 책이다. 다만, 마법같은 이야기는 없으니 마법같은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기업, 로마에서 배운다 (양장)
김경준 지음 / 원앤원북스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로마하면 악의 축, 적그리스도의 나라로 많이들 인식이 되었었다. 그런데 어느순간부터인지 로마를 배우자 로마의 것을 연구하자 라고 하는 움직임이 나타난 것 같다. 왜일까? 적그리스도의 나라 타락과 방종의 나라 로마를 배우고 연구하려는 것일까? 사람들은 로마에서 무엇을 보았길래 그런 연구들을 쏟아내고 있는 것일까?

  역사는 지금의 거울이다. 역사는 한번으로 끝나지 않는다. 계속 반복이 되고 또 반복이 되고 있다. 사람들은 왜 그렇게 잘못된 역사를 반복 하는지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역사를 보면 원인 과정 결과가 다 나와 있기 때문에 지금의 원인을 보고 과정을 분석해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결과가 훌륭하면 거의 과정도 훌륭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성공한 역사는 좋은 교훈이 되고는 한다. 그렇게 보면 로마라는 역사는 아주 훌륭한 교과서일 수 있다. 그 분야가 어떻든간에 적응이 가능할 것이고 이 역사를 경영학에 접목 시키니 그럴듯한 경영학 책이 되었다.

  그렇다면 기업의 입장에서 살펴 본 로마라는 기업의 장점은 무엇일까? 저자는 여러가지를 들었는데 핵심을 말하면, 베타적인 기업문화를 갖고 있지 않고 받아 들이는 기업문화를 가졌다는 점. 말단직원이라도 능력과 열정이 있으면 CEO로 성장 할 수 있다는 점, 핏줄로서 경쟁력이 앞설 수는 있지만 반드시 승자는 아니라는 점을 꼽고 있다.

  글을 읽을때 당연한 것이 아니냐 하고 말을 하겠지만 이 당연한 진리를 지킬 수 있는 이가 얼마나 될까? 힘들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나밖에 없는 자식인데", "굴러온 돌이 박힌돌을 빼려고", "그 학벌에 주제 넘게" 이런 말들을 심심치 않게 하는 마당에 어찌 그러한 교훈을 실천에 옮길 수 있을까?

  역사는 말해주고 있다. 어떻게 해서 전성기를 누리던 나라가 망했는지, 절대 망하지 않을 것 같았던 로마가 어떻게 망했는지. 리만 브라더스 사태도 그렇게 절대 망하지 않는 기업은 없다. 경쟁이 치열하면 치열할 수록 순식간에 망하는 그런 기업들도 많아질 것이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잘 대처 할 수 있도록 역사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켄 블랜차드 외 지음, 조천제 옮김 / 21세기북스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는 참으로 칭찬에 인색한 나라이다. 멀리 갈거 없이 가까운곳에서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격언을 곰곰히 생각해 보면 칭찬에 대한 속담이나 격언이 그리 많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 사회에서도 잘했다라는 말보다는 왜 그렇느냐는 반문 또는 엄한 꾸짖음이 많다.

  칭찬이라는 것은 굉장히 위대한 힘들 가지고 있다. 성공사례나 수기등을 보면 잘했다 잘한다 하고 믿고 응원해준 사람들에게 감사한다고 적고 있다. 많은 말들을 들었을 터인데 왜 잘한다하고 응원해준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표할까? 그것은 칭찬의 말이 오랫동안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고 있었다는 뜻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칭찬의 힘을 잘 모른다. 어릴때나 지금이나 잘한다 잘한다 하면 더욱더 잘하려 노력하지 않는가? 이처럼 칭찬에는 많은 힘이 실려 있다. 다만 사람들이 그 힘을 잘 모르고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이 책은 그처럼 큰 힘을 갖고 있는 칭찬이라는 행위의 위대함을 소상하게 설명하여 주고 있다. 그냥 관념적으로 칭찬은 큰 힘을 갖고 있다 라고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소상히 설명한 내용을 보니 과연 칭찬이란 언어의 능력중 가장 훌륭한 능력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