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품위 있게 사는 법
김지수 지음 / 팜파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잡지라고는 영화 아이티 등등의 잡지밖에 보지 않아서 그런지 보그라는 이름의 잡지가 낯설다. 그 잡지에서 유명한 에디터인것 같은데, 잡지 자체를 알 지 못하니 에디터는 더더욱 누군지 알 수 없었다. 이런류의 책은 저자와 어떤 글로써 교감이 있어야 좀더 이해가 편하고 작가와 소통이 가능한데 그런것이 없어서 좀 난해 했다.

  어렵다는 것은 아니다. 복잡하게 글을 쓰거나 어려운 말로 도배한 글을 쓴 것은 아니다. 그런데 글들이 왠지 '너 나 알지? 이 말이 더 하고 싶었어'라고 말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렇다면 혹자는 왜 이 책을 읽었냐 하고 물어볼 것이다. 난 딱히 답할 말이 없다. 그냥 제목이 맘에 들어서 책을 집어 들었을 뿐이고 책장을 넘기니 읽어 내려간 것 뿐이라는 말 밖에는.

  솔직하게 말하면 이해는 가지 않았다. 잡지의 에디터로 일하면서 그것에서 발생하는 소소한 일상을 적은게 아니고 자신의 생각을 써내려 갔는데, 작가와 교감이 없었던 나는 왜 이런 말을 하고 있을까 하는 의구심만 생길 뿐이었다.

  작가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데, 작가는 알고 있는 것처럼 말을 하고 있었다. 난 왜 이사람이 이런 말을 하고 있는지 도통 이해 할 수 없었다. 중반쯤 읽은 후에야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이고 어떤 일을 하며 사고방식은 이런 스타일 이구나 하고 알 수 있었다. 그때 생각난 것은 이 사람은 잡지라는 공간에서 하지 못했던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를 풀어 나가고 있구나 였다.

  독자로서 팬으로서 이 사람의 글을 즐기는 사람이 아니라면 딱히 몰입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 제목은 품위 있게 사는법이라고 되어 있는데 품위있게 살려면 이렇게 살아야 한다가 아니고 저자가 말하고 싶은 여러가지 이야기중 품위 있게 사는 법이라는 카테고리가 있는 것 뿐이었다.

  저자가 어떤 글을 쓰는지 저자와 많은 부분 공감하는 사람이라면 재미있는 책일 것이다. 하지만 저자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이라면 제목에서 실망을 할 만한 내용이었다. 재미를 떠나서 말이다. 나중에 그 잡지를 접할 기회가 있게 된다면 지은이가 쓰는 기사를 유심히 살펴볼만한 호기심은 생긴것 같아 그것에 만족하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악하악 - 이외수의 생존법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으로 별난 사람이다. 방송에 나와서 얘기 하는것도 그렇고 책에 나온 내용을 봐도 그렇고, 책에는처음부터 끝까지 인터넷 용어가 가득차 있다. 인터넷 용어가 가득 차 있다고 힐난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60먹은 할아버지가 인터넷 하는것도 용하다는 생각은 왜 해보지 않을까?

  대단한 일이다. 지금 아무렇지도 않게 컴퓨터 앞에 앉아서 비난하는 사람들은 지금 본인이 하고 있는 인터넷에서 검색하고 글을 쓰는 것이 고도의 복잡성을 가지고 있는 일인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사람은 나이를 먹으면 모두들 한계를 긋고 있는것 같다. 나는 못한다. 체면이 있는데 라는 마음을 뼛속 깊게 새기고 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나이먹었다고 새로운 문물 받아 들이지 못하고 체면만 생각하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다. 이제까지 어른들이 하는 것을 봐오면서 스스로 그 방식을 배워서 그런 것이다. 어느 연구가들이 나이가 들면 뇌세포가 얼마나 뇌의 능력이 떨어지는지 실험을 하였다. 그 실험 결과는 놀랍게도 뇌의 능력을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였다.

  사람은 생각의 동물이다. 스스로 머리가 굳었다라고 생각하는데서 발생한 일이다. 그런 면에서 봤을때 이외수씨는 참으로 열린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가 사용하는 컴퓨터만 봐도 그렇다. 우리나라에서는 모두들 PC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외수씨는 Mac를 사용하고 있었다. 맥은 상당히 불편하다. 우리나라 사이트의 관점에서 봐서 그렇다는 것이다.

  새로운 문물인 컴퓨터라는 것을 접하기도 어려운 나이인 60대에 젊은 사람들도 잘 모르는 맥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맥이라는 컴이 불편은해도 어렵지 않다. 사람들이 PC에 익숙해서 맥을 멀리하는 것 뿐이다. TV화면에서 맥을 사용하고 있는것을 봤을때 상당히 열린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얼마나 열린 자세로 책을 읽느냐 하는 것이 주요한 관점이다. 귀여니의 소설과 뭐가 다르냐라고 생각한다면 꽉막힌 사람이다. 왜 이런 글을 썼을까 무엇을 소통하고 싶었을까 하는 것에서 책을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내 취향은 아니었지만 재미있게 읽었다. 이외수라는 소설가를 다시금 바라보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컬투에 미치다 - 두시탈출 컬투쇼 초대박 감동사연
두시탈출 컬투쇼 지음 / 헤르메스미디어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한때는 많이 유행했지만 지금은 많이 없는 책의 장르가 있다. 많은 코미디작가들이 책을 썼고 그 책으로 인해 작가의 반열에 오른 사람이 있다. 그 책의 장르는 유머집으로 이젠 거의 찾을래야 찾아볼 수 없는 책이 되고 말았다. 유머집은 재미있지만 공허한 느낌이 날 수 밖에 없다. 모든 이야기가 현실을 바탕으로 만들어 지긴 했겠지만 바탕이 된 이야기이지 실재 있었던 일은 아니기 때문에 허허 웃으면 그만인 책인 것이다.

  그러다 보니 수기 있었던 일을 보내고 그 이야기를 엮어서 책으로 한참 유행하던 시절이 있었다. 101가지 이야기나, 내인생의 닭고기스프 등등 있었던 일들을 모아서 한권의책으로 만든 이야기이다. 그런데 그런 이야기들은 있었던 일이라는 느낌으로 가슴에 와닿기는 하는데 한가지 단점이 있었다. 그것은 너무 고달프고 힘든 역경을 해치고 넘어서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늘 이야기는 무겁고 슬프고 그런 주제가 많았다. 과연 재미있는 가슴에 와 닿는 책은 없을까? 하고 고민하던 중 우연찮게 이 책을 손에 쥐게 되었다. 컬투쇼라는 유명세에 편승해서 만든 책이라는 사실은 당연한 것이고, 과연은 내용은 어떨까하고 궁금하게 되었다.

  내용은 기대했던 것 이상이었다. 그런데 컬투쇼를 한번이라도 들은 사람이어야 실감나게 읽을 수 있다는 살짝 첨가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워낙 말들을 잘하는 사람이 읽어주는 것과 말을 재미있게 하지 못하는 사람이 읽어주는 것은 재미에 천지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책은 재미있고 가슴에 와 닿았다. 하지만 단점을 꼽으라면 허술한 책에 있다고 할까? 책이 읽다보니 마지막 장부터 하나씩 찢어지는 그런 현상이 발생했다. 마지막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놓으면 별 하나 더 줄 수 있는데 그 점이 많이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트 상식사전 프라임 Prime - 비범하고 기발하고 유쾌한 반전
롤프 브레드니히 지음, 문은실 옮김, 이관용 그림 / 보누스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위트 상식사전 시리즈가 이번이 3번째 이다. 거의 내용이나 구성이 바뀐것은 없는데 무려 세권의 책을 시리즈로 출시한 것을 보면 어지간히 인기가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솔직히 말하자면 스페셜까지는 신선함이 있었는데 프라임에 오는 순간 식상함이 느껴진다고 할까? 이제까지 즐겨 봤던 그런 기발함이나 상식을 넘는 즐거움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단순한 유머집같은 느낌이라고 할까? 그래도 보면서 웃고 재미를 느낄 수 있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트 상식사전 스페셜 - 비범하고 기발하고 유쾌한 반전, 대한민국 1%를 위한 상식사전
이동준 지음, 이관용 그림 / 보누스 / 200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똑같은 말을 해도 재미있는 사람과 재미없는 사람이 있다. 말의 억양, 말투, 능력 기타 등등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상황에 따른 적절한 말이었냐 하는 것이 있을 것이다.

  위트는 말을 재치있고 재미있게 말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위트의 기술은 얼마나 시의적절하게 구사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이 위트 상식사전에 나와 있는 책은 상황을 생각하면서 읽어야 재미있는 것 같다.

  그냥 코미디책이다 하고 읽으면 "이게 뭐야" 라는 반응이 생길 수 있다. 머리속에서 상황을 생각하면서 읽어야만 위트있는 책이되고 즐거운 책이 된다.  위트상식사전을 읽고 재미있어서 스페셜을 읽어 봤는데 재미 있었다.

  하지만 생각하지 않은 경우는 그냥 블랙코미디가 될 뿐이다. 생각하면서 읽고 생각하면서 웃어야 진정으로 이 책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