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세계사 - 지금의 세계지도와 역사를 결정한 59가지 전쟁 이야기
김성남 지음, 진선규 그림 / 뜨인돌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많이 연구된 학문은 무엇일까? 사람들에게 물어본다면 사람들은 정치, 경제, 철학 등등 이러한 말들을 주로 할 것이다. 하지만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많이 연구된 학문은 군사학이라고 한다면 사람들은 어떠한 반응을 보일까? 에이, 설마, 말도 안되, 이런 반응들을 주로 보일 것이다. 사실 현대를 살고 있으면서 전쟁을 겪어본 사람들은 지금 연세가 지극하신 어르신들이나 아프카니스탄등에 파견 갔다 온 장병들 밖에는 없을 것이다. 그 밖의 사람들에게는 전쟁이라는 것은 먼나라 이야기일 뿐이니 당연한 반응이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가장 오래연구되고 가장 역사가 깊은 학문은 군사학이 정답이다. 군사학은 유고, 불교가 나오기 전부터 이미 이론적인 수립이 완성되어 있었다. 현재까지도 그 이론적 토대 위에서 변화가 있을 뿐 더이상의 획기적인 이론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말도 된다. 그렇다면 정치, 철학 같은 것들은 언제부터 일까? 그것은 불과 2000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정말 긴 시간이지만 군사학은 기원전에 이론적 토대가 완성되었다고 본다면 까마득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정치 경제에 대해서 소홀한 나라들은 많지만 군사학에 대해서 소홀한 나라들은 거의 없다. 오히려 못사는 나라일수록 군사학에 대한 열정은 뛰어날 것이다. 이처럼 전잰과 군사학이라는 학문은 인류 역사와 함께 자라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표지를 봤을때, 그리고 부제를 봤을때 역사적인 전투 59가지에 대한 분석으로 생각했다. 제목은 "전쟁 세계사" 지만 부제는 "지금의 세계지도와 역사를 결정한 59가지 전쟁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첫 장을 넘기자마자 이건 아니네. 하는 생각부터 들었다. 정말 가볍게 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지도를 결정할 만큼 큰 전쟁이 이런 것이 있었고 이러이러한 방법으로 해서 전쟁이 이루어 졌으며 이런 전술, 전략적 성과를 통해서 전쟁이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런식의 구성을 생각했는데, 전쟁하는 사람들, 전쟁의 도구, 전쟁의 영웅등 가볍게 읽는 전쟁이야기가 주를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중간중간 삽화가 들어가 지루하지 않게(?) 도와주는 기지까지 발휘하여 적잖이 당황하게 해 주었다.

책이 나쁘다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책의 제목과 부제와 표지와는 다른 가벼움에 당황을 하였다. 좀더 책에 대한 정보를 알고 책을 읽었으면 하는 바램 이라고 할까? 하지만 책의 내용이나 구성은 나쁘지 않았다. 가볍게 읽는 전쟁이야기라는 점을 빼면 괜찮은 내용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