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한복음 뒷조사 - 한국교회에 던져진 엄중한 질문에 요한복음이 답하다 ㅣ 복음서 뒷조사
김민석 지음 / 새물결플러스 / 2018년 6월
평점 :

보통 이런 책은 (깊이 있는 책일 경우) 만화 형식이라도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형태로 나오거나, 아니면 너무 얕아 성경 내용을 그저 만화로 이야기 해주는 수준이나 조금 더 나가서 묵상에 도움 줄만한 내용 제시 정도에서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솔직히 말해, 기대 별로 안 하고 읽었습니다.. ^^;;)
그러나, 만화의 흐름을 통해 요한복음이 현대 한국교회와 성도들에게 던지고 있는 질문과 함께,
(이 대목은 얼마 전에 정리한 ‘그날 하나님은 어디 계셨는가.’와 비슷한 경우가 많다. 다만 여기서는, 전체 교회가 아니라 “각 성도가 불의를 보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또는 “우리 각자가 슬퍼하는 이들에게 어떻게 다가가야 하는가?”처럼 조금 더 개별 성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요한복음의 저자문제나 배경 설명에 대해서는 어지간한 신학 서적보다 더 깊게 다루고 있어 보는 동안 지루하지 않았다.(책은 근거를 들어 장로 요한과 사도 요한을 구분하고, 요한복음 저자는 장로 요한이라 가정하고 내용을 진행하는데, 이에 대해선 학자마다 이견이 갈리기 때문에 이 책을 읽는 독자는 반대편 의견을 갖는 학자의 책도 읽어보고 그 중 설득력 있는 입방을 선택한다면 더 좋을 것이다.
<예를들어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의 요한이 같은 요한인가?”에 대해서도
1) 같은 요한이라는 일반 의견[주로 이레니우스 등 초기 교부의 이야기에 기반한다.]외에
2) 전혀 다른 요한이라는 의견[하워드 마샬 등이 해당하며 학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과
3) 두 의견을 절충해 계시록과 서신서의 저술시기를 조금 바꿔보는 관점
[언어 표현상 요한복의 헬라어는 비신학과에서도 코이네 헬라어를 가르칠 때 예문으로 사용할 만큼 비교적 정확하고 다듬어진 헬라어이나, 계시록의 헬라어는 히브리 풍의 헬라어로, 다듬어지지 않은 문장을 많이 사용한다.
그래서 계시록이 요한복음보다 이른 시기에 나왔다면 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기에 이런 절충안이 나왔다.]
물론 이에 대해 회상과 목격, 증언 등에 기반해 서술하는 복음서와는 달리, 계시록의 묵시문학적 특성 (환상 중 보는 것을 쓰는 것과 회상과 증언에 기반해 서술하는 건 전혀 다른 장르이다. ) 사이의 차이로 인한 문체의 변화로 설명하는 입장까지 더하면..[ 공부할 내용이 정말 많아진다.] 정말 여러 이견들이 있다.)>
따라서 이 책이 요한복음의 저자를 12제자가 아닌 요한으로 보고 내용을 진행하는 데에 너무 큰 무게를 둘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요한복음의 독자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상황(유대공동체인 회당에서 출교당하고 지역 사회에서 배제와 차별받는 상황)과 교회의 불의에 정의를 가지고 항거 했으나, 공동체에서 배제되는 등장인물의 상황을 교차시키며, 독자가 (개인을 강조하는)요한복음을 읽으며 생각해야 할 점들까지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요한복음의 저자 문제 같이 지식적인 부분 외에, 개인 묵상에도 간접적으로 도움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배경과 논점, 등을 이야기로 풀어 설명하는 책의 특성상 요한복음 자체의 구조나, 각 장별 특징 등은 거의 없는데, 이런 내용은 널리 알려진 간단한 주석이나 메시지 성경 등에서 접할 수 있으니, 이 책은 다른 부분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요한이 말하는 ‘인간으로 오신(성육신) 하나님’은 우리 고통을 지켜보는 분이 아니라 우리 고통 속에 함께 고통당하시며, 함께 우시는 하나님이시다.
일단 이 하나만 가지고도 평생 묵상하고 생각해야 할 문제이리라. 생각할 거리를 얻었다는 데에 만족한다.
(다만! 분명히 요한이 사랑을 강조하고, 하나님은 사랑이신 건 맞는데, 그리고 책의 흐름과 주제와도 긴밀히 연결되어 문제는 없는데, 마지막장 러브라인은 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