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소년이 서 있다 민음의 시 149
허연 지음 / 민음사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시집에 대한 서평을 슬 때면 조심스러워 진다. 차라리 시 몇 편에 대한 서평만을 쓴다면 내 느낌에 대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늘어놓을 수 있겠지만, 이렇게 한 권의 시집에 대한서평은 쓰기가 조심스럽다. 여기 나온 모든 시가 내가 시집을 읽으며 느낀 감정에 해당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한 작품만 뽑기에는 다른 작품이 아쉽다. 그래서 그냥 주관적으로 정리 하고자 한다.

 

먼저 이 시집에 나온 시 대부분은 연 구분이 없다. 그래서 마치 혼자 읊조리는 듯이 느껴진다.

 

 

세상의 냉혹함과 차가움을 충분히 느낀 소년

이미 세상의 모든 일을 원래 일어날 일들이었습니다.”(커피를 쏟다 중)라며 거리를 두거나,

빛은 어딘가에 도달하기 위해 나를 지나쳤을 뿐 어차피 내 손목이나 내 사랑은 안중에도 없었다. (빛이 나를 지나가다)

 먹고 먹히는 데 이유는 없다

 

신념이 필요 없는 이유는 충분하다(태평성대 중)

 

이렇듯 차가운 세상을 살아가는 모습과, 그런 세상 속에서 결국은 일어나는 일들어찌 할 수 없는 일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자못 차갑다.

 

 신성한 모든 것이 세속적이 되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회사에서 시말서를 쓰는 일상적 모습, 인생에 그 이상의 것은 없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새로움이 사라지고, 기대도 사라지고, 사랑에도 아프지 않고, 비굴할 만큼 비굴해지고 오만할 만큼 오만해진 저자가, 아무 것도 아닌 시를 위해, 아무 것도 아니길 바라며(휴면기 중) 다시 시로 나아오는 노래는 그래서 슬프다.


하지만 그런 세상속에서도 여전히 푸른 소년이기를 

그러나 세상의 모든 것을 알아버린 저자가, 허무하다 외치는 시인이 자신을 나쁜 소년으로 표현한 것처럼, 우리 속에 있는 아직 세상에 발 담그지 않은 소년, 세속에 물들지 않아 세상에서 배척받는 나쁜 소년으로서의 모습이 그러한 아무 것도 아닌, 세월 속에서, 시간의 흐름 안에서 고독함 속에서 푸르게 남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아닐까 한다  


"빌헬름 스테켈이라는 정신분석 학자가 쓴 것이야. 이렇게 말했구나… 「미성숙한 인간의 특징은 어떤 일에 고귀한 죽음을 택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성숙한 인간의 특징은 어떤 일에 비겁한 죽음을 택하려는 경향이 있다..“(빌헬름 스테켈[셀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에서 재인용])

 

고결하게 죽지 못했으나 죽을 수 있었던 시절을 그리며, 이제는 세속에 물들고 아무 것도 아니게 된 인생을 살아가는 것. 그게 삶인지도 모르겠다.

 

다만 이 시의 시인은 그러한 성숙함에 이르지 못하고, 계속해서 어떤 고결함에 머물고자 울부짖고 있다. 그런 모습은 좋게 보면 각박한 삶에 대한 저항으로 볼 수 있으나 다른 면에서 보면 다른 면을 보지 못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조금 아쉽고 괴리감이 느껴진다.

 

하지만 세상과 타협한 것은 삶에서 충분히 느끼고 있으니 이렇게 타협하지 않으려 애쓰는 작품을 보는 것에 더 신선한 기분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