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쓰기의 첫 걸음 Art@Culture(북하우스) 4
최인석 지음 / 북하우스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사이버 강의 내용을 그대로 옮긴 책이라 그런지, 이야기 하는 방식으로 되어있어 읽기 편하다


 (해당 사이버 강의는 아트앤스터디에서 서비스 했었고, 몇몇 대학 도서관에서 협약 하고 제공하고 있으니 혹시 접근 가능한 사람은 듣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한다.)

 

아주 작은 이 책은, 소설의 구도를 어떻게 잡으라거나, 문장 표현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선 이야기 하지 않는다. 대신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를 이야기하며, 그 주제를 보이기 위한 인물 형상화’, ‘배경시점등을 단편 소설들의 예를 들어 하나씩 짚으며 살펴본다. (포스트모더니즘 등, 예외는 있지만, 이 책에서는 시점이나 배경 등을 모두 주제가 결정한다.)

글쓰기를 처음 시작하는 이들이 짧게 읽고 도전하기 전, 방향을 잡기 좋으며, 이 책을 읽은 뒤 표현 기법이나, 주제 선정 등에 대해 조금 더 공부하면 막막함이 조금은 사라질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 책을 읽는다고 문장이 좋아지거나, 글을 쓸 줄 몰랐던 사람이 글을 쓰게 되리라 생각하진 않는다. 다만, 처음 글을 쓰고자 하는 사람이 글을 쓰기 위해 내 삶과 내 주변의 것을 조금 더 주의 깊게 보고 생각할 수 있게 된 것만으로도 많은 것을 얻은 것이겠지.

 

짧지만(사실 강의와 같이 듣느라 그리 금방 읽지는 않았다.) 처음 만나는 창작 강의에서 막막함을 조금이나 덜어낸 기분이라 좋은 시간이었다.

 

(책을 읽기 위해서는 김동인의 감자와 서정인의 ’, 그리고 이창동의 녹천에는 똥이 많다를 읽어오라 하는데, 앞의 두 작품은 쉽게 구할 수 있으나, 마지막 작품은 구하기 어려울지 모른다. 그러나 책에서 핵심 내용을 요약해주니, 못 구한다고 해도 독서에 큰 지장은 없으리라 생각한다. )

 

소설을 쓰는 것이 어린 시절처럼 자유롭지 않았다.나는 아직도 더 자유롭고 싶다.
어짜 보면 모순된 일이지만 이 보잘것없는 책을 읽는 이들에게 나는 이렇게 권하고 싶다. 읽고는 마지막 페이지를 덮으면서 다 잊으시라고.

소설을 쓰는 일반적인 방법 같은 것은 없다. 그 방법이란 스스로 찾아내는 것이요, 스스로 찾아낸 것이야말로 유일한 방법이다. -책머리에- - P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