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학 학교에서 배운 101가지
존 쿠프레나스 & 매튜 프레더릭 지음, 김소진 옮김 / 글램북스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이런 작은 책을 읽으며 정말로 이 책으로 공학의 틀을 잡는다거나, 공학 전공 전 기초를 잡을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으리라 본다. (있으면 어쩌지.. ^^;;)
일단 책 자체도 작은 편이고, 책의 반은 설명을 돕기 위한 그림이다. 게다가 한쪽의 내용도 해당 쪽을 가득 채운 게 아니라 보기 편하고, 여유있게, 그리고 큰 글씨로 되어 있어서 가독성이 매우 좋다. 그 내용도 건축공학, 기계공학, 전기, 화학, 산업 공학 등을 모두 다룬다. ‘공학’이 어떤 학문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가볍게 보고 공학이란 무엇인지, 공학에 맞는 사고방식을 부담 없이 맛보기 좋다.
정당한 분량, 그런데?
너무 적당해서일까? 뭔가 공학의 멋을 보기에는 너무 짧다. 그냥 공학이란 학문 자체를 설명하기도 벅찬 분량인데, 그 세부 내용에 얽힌 일화나, 흥미로운 공학적, 물리학적 현상들에 대한 설명으로 한 항목을 끝내는 장이 많아서 그냥 부담없이 공학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돕는 정도의 역할만 가능하다.
과연 공학 학교에서 이 101개를 모두 배울까? 모두 배운다고 하기는 너무 넓은 주제였고,(컴퓨터 공학, 건축공학 등 공학의 각 문야만으로 이런 책 몇권은 나올 것이다. ^^;;) 특정 분야에 집중에 생각하기엔 너무 얕은 내용들이었다.
뭔가 모호해서 너무 큰 기대를 갖고 본다면 아쉬우리라. (공학의 한 부분인 컴퓨터공학 관련해 독학학위 책만 생각해도 이 3배 정도 크기의 책이 몇 권이 필요할지 생각해보면 답이 대충 나온다.)
하지만 공학이 무엇인지 궁금한 이들은 추천~!
그러나 공학이 무엇을 하는 건지 모르는, 막연한 상상만 해오던 이들은 이 부담 없이 적당한 분량의 책을 통해 공학이 무슨 일을 하는지, 그 속에 어떤 원리들이 수어 있는지, 얼마나 유용한지를 모두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공학과 처음 만나는 이들에게, 혹은 타 전공자가 공학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 읽기 적당한 책이자, 공학을 충실히 소개하는 다리가 될만한 책이다.

공학은 인간의 궁금증을 연결해주는 연속체 역할을 맡고 있다. - P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