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른들을 위한 아스퍼거 증후군
가토 노부마사 지음, 김예니 옮김 / 반딧불이(한결미디어) / 2012년 3월
평점 :
분명 자폐와 달리 말을 잘 하지만 대화가 어딘지 모르게 이상하고, ADHD와도 뭔가 다른 이들. 환청을 많이 듣는 조헌병과 달리 환시를 자주 보이는 등 아스퍼거 증후군의 의학적 특성부터, 그들의 어려움이나, 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귀매개와 선글라스의 응용(선택적 주의집중을 위함) 등 여러 일상적, 의학적 조언들을 담고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 아이들’처럼 아동~청소년들을 대사으로 한 책이나, 이상심리학처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책들만 많은 상황에, 자신이 아스퍼거임을 모은 채, 아니면 알더라도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는 상태로 성인이 된, 그래서 괴로워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안내서라 본다.
그러나 너무나 작은 책에 너무나 많은 내용
이 책의 크기는 거의 소책자 정도로 작은 책이다. 게다가 그림도 많아서 읽기 편하지만 많은 내용을 너무 살짝 다룬다는 느낌이 든다. 예를 들어 흥미가 있는 일에는 일방적으로 계속 이야기하고, 이야기 중에 주제를 바꾸어버리는 등의 특성으로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로 ‘도우미의 도움으로 대화법을 익힌다.’정도로만 제시되어 있어 책을 읽자마자 해당 증상을 가진 이들이 뭔가를 바꾸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별종, 괴짜 그리고 아스퍼거 증후군’이라는 책을 참고하면 “내가 이야기 할 때 상대방이 그 내용에 대해 질문하고나 이야기 하면 대화를 지속해도 되고, 더 이상 그 주제에 대해 물어보거나 설명하지 않는다면 그 이야기를 멈추는 게 좋다”)
표정인지를 어려워하는 그들의 사회활동을 돕기 위해 위한 해야할 일 정리(월요일은 무슨 옷 입기 등) 또는 치료프로그램은 증상을 완화 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나 작은 책에서 너무 많은 이야기를 하려 하려는 건 아닐까? 작은 책에서 이야기 하는 대상이 환자, 사업주, 주변인, 정부 등 너무 다양해서 난잡하고, 깊이가 없어 보이기도 한다.
예를들어 자립지원 의료는 나라의 일이고, 치료프로그램이나 병원의 진료과와 치료프로그램 안내 등은 환자, 대화가 잘 되지 않는 이유나 표정인지의 어려움에 대한 내용의 반은 환자에게, 나머지 반은 그들의 주변인에게 그들을 이해해야 한다고 권하는 내용이다.
게다가 그들의 상사나 직장 동료에게 “아스퍼거 증후군을 겪는 이들은 ~한 특성이 있으니 그들을 이해하고 –게 해야한다.” 말하는데, 책의 목표 독자를 조금 더 좁히면 좋지 않았을까 한다. 모든 사람들이 이 책을 읽는다면 좋겠지만, 그럴 수는 없으니 일단 그 증상을 가진 이들을 대상으로 좀 더 많이 설명하고, 사업주를 위해, 주변인을 위해 다른 소책자가 더 나오는 식으로 해서 약 3권 이상의 소책자 시리즈로 출간 되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여러 아쉬움이 남지만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책을 읽고 아스퍼거 증수훈 성인들을 좀 더 잘 이해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아스퍼거 증후군인 사람은, 상대가 한 말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그것은, 말에 숨겨있는 본심이나 행간을 ‘상상‘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 P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