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사이언티스트> 특별기사(2016.09.03)의 다섯 번째 주제는 ‘선과 악은 어디서 오는가?Where do good and evil come from?’이다. 글은 다소 충격적인 이야기로 시작한다. 3살짜리 아이가 엄마의 팔에서 빼앗겼다. 그리곤 이마를 물어 뜯겨 살해당하고, 잡아 먹혔다. 아이와 같은 공동체에 속한 어느 엄마와 딸이 한 짓이었다. 이들은 이후에도 적어도 두 건의 유아살해 및 식‘인’에 연루되었다. 도덕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연쇄살해는 정말 ‘악’이라고 부를만한 짓이다. 단, 여기서 피해자와 공격자들은 탄자니아의 국립공원에 사는 침팬지들이었다. 우리는 침팬지를 악하다고 할 수 있을까? 또는 다른 경우, 선하다고 할 수 있을까?
선과 악의 문제는 철학자들이 오랫동안 씨름해 온 문제이다. 선과 악은 나눌 수 없는 쌍둥이일까? 어떤 일이 본질적으로 선하거나 악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은 과학이 답하기에는 너무 추상적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과학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할 수 있다: ‘왜 동물들은 이타적인가?’, ‘왜 침팬지들은 때때로 서로를 잔인하게 죽이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인간에게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선과 악의 밑바닥에 깔려있는 것은 자연선택이라는 중립적 손이라는 것이 과학의 답이다.
캐나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의 진화생물학자인 버나드 크레스피Bernard Crespi 교수에 따르면 이 모든 것은 유전자를 후세에 전달하기 위해 일어나는 일이다. 왜 어떤 동물은 어린 동생을 돌볼까? 자기 자식이 아니어도 공통된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 수준에서는 이타적 행동이 유전자 수준에서는 이기적 행동이다. ‘선한 행동’은 종종 ‘숨겨진 이득’을 동반한다. 물론 유전자 수준에서의 이득이다. ‘악한 행동’ 역시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유아살해한 침팬지들은 식량과 자원 획득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었음이 이후 드러났다. 이 경우 유전자 수준에서는 경쟁자를 제거하는 것이 이득이다.
물론 모든 악행이 유전자 이득으로만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끔찍한 일을 저지른 인간의 많은 경우가 폭력적 가정환경에서 자라났다는 결과도 있으니까. 이러한 과학의 답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선과 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선과 악은 진짜로 있는 것이 아니다. 한편 이러한 답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생각도 할 수 있다: 진화적 압력이 우리를 폭력적으로 만들 수 있다면, 다른 한편으로는 아주 평화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배부르고 등 따스운데 누가 싸우고 싶겠는가? 이것이 선과 악에 대한 진화론적 설명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