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는 지금 몇 시일까요?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주를 이루는 요소들은 '지속되는 시간 속'에 존재하는 3차원의 대상이 아니라, 시간이라는 요소가 공간적 요소에 통합된 4차원의 대상입니다. 시간은 공간과 마찬가지로 흐르지 않지요. 따라서 과거, 현재, 미래는 일종의 블록우주(block universe) 안에서 서로 뒤섞이고, 그 안에서 모든 순간은 시간적인 순서 없이 똑같은 가치를 지닙니다. 

   이 '우주 케이크'를 설명하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이제껏 반증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것은 시간을 설명하는 가장 확고한 이론이긴 하지만 확실히 불완전하지요. 과학자들 대부분은 시간이 경직된 블록을 닮았다는 생각에 불만족해합니다. 시간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고, 미래가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자유 의지가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란 힘들지요.

   이 기이한 그림을 완성하려면 새로운 물리학을 발견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과연 어떤 물리학일까요? 가령 시간이 흐른다고 인식하는 우리의 감각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해 우리 시대의 가장 명민한 물리학자이자 수학자 중 한 사람인 로저 펜로즈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도 정말 알고 싶네요." (46~47 페이지)

















... 초심자에게 상대론적 세상은 위험한 퍼즐과 믿기 힘든 역설로 가득 찬 이상하고도 경이로운 유령의 집입니다. 하지만 그 여정이 힘들어질 때면 우리가 거기서 여러분의 손을 잡아 줄 겁니다. 미적분과 선형 대수학의 몇 가지 기본적인 기초 지식만 있으면 앞길을 헤쳐나가기에 충분합니다. (15 페이지)


레너드 서스킨드를 한 번 믿어볼까?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3-01-04 19: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없단 사실을 “저도 정말 알고 싶습니다.“ ^^

blueyonder 2023-01-05 10:36   좋아요 1 | URL
과거, 현재, 미래가 모두 동일한 가치를 갖는다는 ‘블록우주’가 잘못된 개념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