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성의 고리
W. G. 제발트 지음, 이재영 옮김 / 창비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토성의 고리라는 SF적인 제목과 어느 소설가의 추천사 때문에 읽을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10년이 지난 이제야 다 읽었다. 10년의 세월 동안 나는 해체에 좀 더 가까워졌고, 그래서 해체와 몰락의 이야기인 이 글을 좀 더 읽을 생각이 들었던 모양이다.

 

독일인인 화자는 영국 동부를 도보여행 하며, 만나는 장소에 얽힌 현실인지 소설인지 모를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죽은 이들, 그리고 퇴락하는 것들도시, 건물, 가문에 대한 이야기이다. 온갖 이야기가 다 나온다. 2차 세계대전부터 서태후, 양잠까지... 영국으로 이민 와서 사는 한 복잡한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 본 느낌이 든다.

 

토성의 고리라는 문구는 본문 어디에도 나오지 않고 제일 앞의 인용구에서만 언급된다. 토성의 고리가 토성의 인력에 의해 부서진 위성의 잔해라는 구절인데, 이 글의 주제인 부서져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상징이 아닐까... 무엇이든 결국은 해체된다. 인간은 물론이고, 여러 세대에 걸친 가문도, 문명도, 그리고 심지어는 자연조차도... ‘불멸의 원자라는 표현이 있는데, 원자조차도 영원히 불멸은 아닐 것이다. 영원은... 상상할 수 없다. 수학은 논리로 무한을 다루지만.

 

모든 죽어가는 것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냥 주어진 대로 사는 일, 그리고 때때로 제발트처럼 애도하는 일. 또는 시인의 말처럼 사랑하는 일. ‘생명이란 위대한 것이다. 사라짐으로, 또 다시 태어남으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그만 메모수첩 2021-05-10 08: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얼마 전 제발트의 현기증 감정들을 읽었어요. 카프카 문학에 대해 말해보라면 한 마디도 못할 제가 카프카 좋아하는 것처럼 제발트의 그 단편소설집에 대해 말해보라면 한 마디도 못하겠지만 그 책이 너무 좋았어요. 토성의 고리도 곧 읽을 예정이어서 반가운 리뷰였어요. 잘 읽었습니다.

blueyonder 2021-05-10 18:17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사실 일반적 소설은 아니어서 술술 읽히는 스타일은 아닙니다. 글이 뭔가 아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