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말은 그 사람의 글을 얼마나 반영할까.

늘상 고민거리이다.

핸드폰이란 것이 나오고, SNS가 발달하면서,

참 많은 것들을 문자 메시지나 카톡의 형태로 대신하면서,

말로 할때는 적어도 음성으로라도 분위기를 전달할 수 있는데,

문자 메시지나 카톡으로는 그럴 수 없어서 오해를 몰고 오는 것을 보면 말이다.

직접 얼굴을 보고 나누는 대화는 그나마 낫다.

애기를 할때 상대방의 반응이나 표정 따위로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피드백을 보면서 적당히 반응할 수 있어서 한결 낫다.

 

암튼 난 문자 메시지나 카톡 따위로 상대방에게 내 의사를 잘 전달하지 못한다.

그건 알라딘 서재 이곳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웃 서재라고는 해도 넷 상에서의 친분에만 의존하는 것인데, 짬뽕공처럼 이리저리 넘나든다.

 

예를 들면 이런 것들 말이다.

상대방이나 주변에서 봤을때는 별로 친한 것 같지도 않은데, 툴툴대는 경우가 있다.

이건 상대방이 맘에 안 들어서 툴툴거리는게 결코 아니다.

버림 받거나 거절 당할까봐 두려워서 비롯된 일종의 방어기제이고 위장전술인데,

'친하게 지내고 싶다, 놀아달라'를 반어법으로 얘기할 따름이다.

아마도 알게 모르게 나의 그런 댓글에 뜨악했었던 분들이 계실 것이다.

이 자리를 빌어 사과 드린다.

 

 

서론이 길었다.

매주 토요일 아침 라디오에서 하는 '노중훈의 여행의 맛'을 들으면,

'박찬일의 맛'이라는 꼭지가 있는데 둘이 대화를 나누는 것을 듣고 있노라면 케미가 끝내준다.

장소팔과 고춘자의 만담을 듣고 있는것 같다.

뭐랄까, "나 너랑 안 놀거야~(,.)'와 '한번만 봐주라, 벌러덩'이 왔다리 갔다리 하는 사이, ㅋ~.

하지만, 방송이라서 그런 건지, 둘 사이에 서로에 대한 배려랄까, 예의와 격식 따위는 또 제대로다.

그게 박찬일의 매력이다.

 

사람이 하는 말이 그 사람의 글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모르겠지만,

박찬일이 쓴 글을 보고 있으면 하는 얘기가 듣고 싶고,

얘기하는 걸 듣고 있으면 그의 책을 찾아 읽고 싶어진다.

 

책을 소개하느라 장황했는데, 이제 곁에 두고 아껴 읽을 일만 남았다.

그의 음식을 먹어본 적이 없지만,

이 정도의 글솜씨라면 음식도 맛깔 날 것이 틀림없다.

아니면, 내 손에 장을 지지겠다.

(이런 말 조심해야 하는데, ㅋ~.

 하긴 그렇게 호언장담하고 안 지키는 사람 하나 봤다~ㅠ.ㅠ)

 

나를 이렇게 장황하게 떠들게 만든 'PROLOGUE'의 한구절을 옮겨보자면 이렇다.

 

노인이 국숫발을 삼키는 장면이 그 어떤 슬픈 소설보다 더 선명하게 슬펐다. 그것을 잊을 수 없어 이 책 안에 녹아 있다. 나의 분별없는 시니컬함은 실은 슬픔이라는 질료로 이루어져 있다. 울수 없어서 나는 냉소했는지 모른다. 그것을 용서해주시기 바란다.

  어쩌다 제목에 미식가가 들어가지만, 내 미각은 실은 미식의 반대편에 있다. 거찰게 먹어왔고, 싼 것을 씹었다. 영양과 가치보다 주머니가 내 입맛을 결정했다. 함께 나누는 이들의 입맛이 그랬다. 소 등심 대신 각 떨어진 돼지고기를 구웠고, 조미료 듬뿍 든 찌개에 밥을 말아 안주했으며, 노천의 국수집에서 목숨처럼 길고 긴 국숫발을 넘겼다. 그것이 내 몸을 이룬 음식이니, 미식이란 가당찮다. 그럼에도 미식이라고 할 한 줄기 변명이 없는 것도 아닌데, 그것은 순전히 음식의 건실한 효용을 사랑했던 것이다. 가장 낮은 데서 먹되, 분별을 알려고 했다. 뻐기는 음식이 아니라 겸손한 상에 앉았다. 음식을 팔아 소박하게 생계 하는 사람들이 지은 상을 받았다. 그것이 미식이 아니면 무엇이겠는가. 미식의 철학적 사유와 고급한 가치의 반대편에 있는 저 밥상들이 나는 진짜 미식이라고 생각한다.(5~6쪽)

기록 경신이다.

오늘은 프롤로그를 읽다가 대성통곡을 했다.

사는게 힘들어, 미식가 입맛을 지닌 아들에게 허름한 음식이나 인스턴트 음식을 먹였다.

그래도 엄마의 시니컬한 반어법을 닮지 않고 착하고 따뜻하게 자라줘서 고맙다.

 

 

 

 

 

 

 

 

 

 식가의 허기
 찬일 지음 / 경향신문사 /

 2016년 12월

 

 

오늘의 1일1그림이다.

누구인지는 퀴즈이다, ㅋ~.

친구에게 보여줬더니 'ㅋㅋ동철씨구만'이라고 하는데,

'동철씨'는 울남편의 이름인데 '땡~!'이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7-01-03 18: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누굴까요. 박찬일이라기엔 입술이 덜 두툼하고. 어디서 많이 본 얼굴인데요.
이건 그닥 상관없는 말이지만 같이 밥 먹으며 유독 미식가인양 음식 지적하고 까탈 부리는 사람 별로에요 ㅎㅎ

양철나무꾼 2017-01-04 10:58   좋아요 0 | URL
철푸덕~OTL
박찬일이라고 그린 것 맞습니다.
모자가 들려서 이마가 넓어보이고 다소 외소해보입니다.
입술은 다물고 있을땐 더 단호하고 얇아보이는데 실패했습니다.
거기다가 어깨는 무게감을 실어 글쓰는 요리사의 이미지를 담고 싶었는데,
그게 다 제맘대로 되질 않았습니다.

저는 편식이 심해서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엔 까탈스럽게 비춰지기도 하나 봅니다~--;
프레이야 님이랑 밥 한번 먹어얄텐데...
언젠가 그럴 날 있겠죠?^^

프레이야 2017-01-04 19:59   좋아요 0 | URL
그렇군요. 몇년전 부산국제영화제 때 앞자리에서 강연을 들은 적 있어요. 그때 본 인상과 좀 달라서 못 알아 보았어요. ㅎㅎ 편식은 취향이니 괜찮은데 일일이 자기입에 안 맞는 걸 지적하는 게 별로지요. 입맛은 다 다른데 말이죠 ㅎㅎ 기회 만들어 볼게요

양철나무꾼 2017-01-05 17:01   좋아요 1 | URL
제가 보고 그린 그림을 봐도 하~나~도~안 닮았습니다.
프레이야님~, 멋져보이고 부러워요.
저는 부산국제영화제는 커녕,
엎어지면 코닿을 곳에(직장이랑 한20분 정도의거리에) 광화문 몽로가 있는데도,
이 분 와인 참 좋을텐데...아직 한번도 못 가봤어요.

실은 저 장 지지자고 할까봐 못 가요~, ㅋㅋㅋㅋ~.

2017-01-03 20: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1-04 11: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푸른희망 2017-01-03 2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누군가가 차려주는 밥은 항상 고맙더라구요. 금전적 댓가를 지불했든 아니든요.끼니를 준비한다는건 늘 어렵고 그만큼 귀한 일이라고 믿습니다 (고로 나도 귀한 사람? ~^^)

양철나무꾼 2017-01-04 11:06   좋아요 0 | URL
저는 제 일 싫은게 대충 차려 대충 먹는 밥이예요.
혼자 먹더라도 싱크대에 서서 먹는거 말구요,
반찬을 나눔접시에라도 골고루 담아 이쁘게 세팅해 놓고 먹는게 좋아요~^^
왜냐하면 나는 소중하니까요.
푸른희망 님도 당근 귀하고 소중한 분, 맞습니다~^^

해피북 2017-01-03 2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과 언행의 불일치.. 저도 알게모르게 불일치 되는 일들이 많은거 같아 가만히 조용히 되돌아보게 되었어요~ 어제 글에서도.. 꺼이꺼이 우셨다셨는데..슬픈땐 다 쏟아내는 것만큼 시원한 일도없지만 너무 많이 우시는 일이 없으셨음 좋겠어요 호호~오늘은 찬일님을 배워갑니다^^ 즐거운 저녁시간 보내셔요^^

양철나무꾼 2017-01-04 11:10   좋아요 0 | URL
예전에 직장에서 제 별명은 ‘집파녀‘였습니다.
너무 울어서, 울때마다 벌금을 만원씩 냈거든요, ㅋ~.
쏟아내고 비워내면 그만큼 홀가분하더라구요.
카타르시스라고나 할까?
슬플때 슬픔에 몰입하는 것보다 비워내고 홀가분해지는 정신건강에 이로운 것 같아요~^^

AgalmA 2017-01-04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프라하 거리에서 울고 다니는 여자>처럼 요즘은 책만 보면 통곡하는 양철나무꾼님이군요. 울면서 본 책은 더 애틋하더라는.

양철나무꾼 2017-01-05 16:56   좋아요 0 | URL
책 제목은 본듯 한데 내용은 잘 몰라요.
솔직히 고백하자면 전 김화영 번역은 딱 싫어요~ㅠ.ㅠ

요즘은 책을 좀 쉬엄쉬엄 천천히 읽는 편인데,
오히려 감정 몰입도는 높아요~^^

님은 어떤 책이 그리 애틋하셨나요?^^

AgalmA 2017-01-05 17:35   좋아요 1 | URL
양철나무꾼님은 저랑 참 다른 듯^^
전 불문학 좋아하다보니 김화영 번역자 책을 많이 봤고 자연스레 좋아하게 됐어요.

에밀 아자르로 낸 책들 보며 대성통곡했던 게 가장 기억에 남아요. 로맹가리로 낸 책보다 저는 에밀 아자르로 낸 책이 더 좋더라는.

양철나무꾼 2017-01-05 17:59   좋아요 1 | URL
에밀 아자르 라고 하면 얘기가 또 달라지죠~^^
자기앞의 생, 가면의 생, 솔로몬 왕의 고뇌, 따위...참 좋았어요.
삶도 뭔가 사연을 담고 있을 것만 같아서, 묘한 것이 격조를 이루고 말이죠~.
제가 김화영을 좋아하지 않는 건,
그의 산문(산문집도 두권인가 읽었죠)들을 통해서 만나게된 미사여구가 맘에 들지 않아서 였을 겁니다~ㅅ!
때론 달라서 불편하기도 하지만,
님이랑은 이렇게 달라도 새로워서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