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아침 출근 길이었다.
난 아픈 허리를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조심조심 지하철에 올랐으나,
지하철을 타는 것과 동시에 짐짝처럼 구겨져 버렸다.
내 옆에 20대 초반으로 보이는 여자가 있었고 그 앞에 중년 남자가 있었다.
내가 보기엔 20대초반의 여자는 이상하게 자기 영역을 넓게 확보하려는듯 중년 남자를 자꾸만 건드리고 떠밀고 하였다.
두번, 세번, 네번 참던 중년 남자는 여자에게 한 마디 하였다.
"도대체 왜 그러는 거냐? 내가 어떻게 했다고 그러냐?"
20대 초반의 여자는 웅크리는게 아니라,
독기라는 바늘을 고슴도치처럼 곧추 세우고,
"저에게 말 걸지 마세요. 말 시키지 마세요."
라는 말만 반복하고 있었다.
시선을 고정시키지 못하고 계속 흔들리는 눈빛으로 미루어 어떤 사연이나 트라우마를 가졌으리라 짐작은 하였지만,
거기까지,
그 여자에게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런지는 고사하고,
내 한몸 가누기가 버거워하고 있었다.
그랬는데,
막 지하철에 오른 중년여자가 그 20대 초반의 여자를 자기 쪽으로 잡아 당겨,
자신이 서있던 자리에 세우더니,
"이렇게 자리를 바꾸자, 이럼 되지?"
라고 하며 자신의 안으로 들이며,
중년 남자와 20대 초반의 여자 사이에 서서 경계처럼 울타리를 만드는 거다.
중년 남자를 향하여 간곡한 눈빛을 말 대신 보내고 있었다.
난 그들을 뒤로 하고 내릴 역이 되어서 내렸다.
나이를 먹을만큼 먹었지만 아직도 인간관계가 버겁다.
관계자체가 젬병이다.
사회생활을 빙자하여, 또 다른 울타리 안에 나를 가두는 느낌이다.
그런 상황에 처했을때,
누구에게든 어떤 식으로든 도움을 주는 것으로, 중년의 역할과 임무를 수행하고 싶지만,
마음은 있어도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르겠다.
그렇다고 다른 사람들도 다 나 같이 모른다고 두손 놓고 있느냐 하면,
저 위의 중년여자처럼 처신하는 사람도 분명 있다.
그리고 이 책을 만났다.
나는 지하철입니다
김효은 글.그림 / 문학동네어린이 /
2016년 10월
그동안의 그림들이 더미가 되고, 그 첫더미가 책으로 만들어지기까지 3년이 걸렸단다.
출판사 제공 책 소개를 보면 이렇다.
지하철을 타고 다니며 그림을 그리던 화가의 눈에 사람들의 지친 표정 뒤에 숨은 소중한 삶이 들어오기 시작헸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것들은 엄청난 양의 드로잉이 되어 남았다. 책 속 인물들의 삶을 그려내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과 직업을 휘재했고 그 과정에서 만난 새로운 이야기들은 작품을 또 다른 하원으로 옮겨주었다. 각 인물의 삶을 입체적으로 조명하기 의해 그를 둘러싼 시대상과 가족들의 이야기도 따로 정리했다. 구둣방 재성 씨의 당당한 걸음걸이와 스물아홉 도영 씨의 어딘지 미더운 얼굴이 설득력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그 덕분이다. 고치고 살피기를 반복했던 전체 구성과, 장면이 확정된 후에도 원하는 공기와 빛, 온도를 찾기 위해 며천이고 다시 그린 그림들. 이 한권의 그림책 뒤를 받치고 있는 시간과 공간이 실로 방대하다.
이런 책 소개를 보고 나니,
스케치 한장 얼렁뚱당 하는데 2~30분이면 족하다고 설레발 친게 쑥쓰럽고 민망하다.
내가 좋아서 그리는 그림이니,
그림의 완성도 따위는 문제될게 없겠다 싶어, 내 자신의 만족도에 의미를 두었었는데 말이다.
'1일1그림'을 올리기가 좀 거시기하지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205/pimg_7451441771535334.png)
내가 아주 아끼는 책 두권을 덤으로 소개한다, ㅋ~.
고마워 하루
하재욱 지음 /
헤르츠나인 /
2015년 1월
안녕 하루
하재욱 지음 /
헤르츠나인 /
2014년 9월
하루 하루 '안녕~!'으로 시작해 '고맙다'고 하며 마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렇게 나이 먹어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