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거짓말 모중석 스릴러 클럽 14
리사 엉거 지음, 이영아 옮김 / 비채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소위, 작업의 고수라는 지인(知人)과 화창한 봄날을 이러고 앉아 시간을 죽이는 이유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었다.
그는 나의 '사람을 선택하는기준'이 너무 까다롭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나는 '홀로 고고함'을 들며 스스로 위로하고 있었다.

지인; 얼굴도 왠만큼 생겨줘야 하잖아.
        느끼하면 안되고...
나; 고개만 끄덕끄덕
지인; 어느 정도 얘기가 통할 정도의 지적 능력도 갖추어야 하고...
나; 그럼 나도 어느 정도의 지적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얘긴데...
     내가 지적 능력이 '어느정도'에 이르지 못했으니...패스
나; 서로 끌리기만 하면...책에서 보면 one night stand 같은 것도 있고 하니...
     앞의 두개는 무시될 수 있지 않을까?
지인; one night stand 그거, 다음날 되면 기분이 더럽다.

이 책은 작가 '리사 엉거'의 섬세함이랄까, 세상을 또는 사람을 보는 방식이 참 맘에 들어 시작하게 되었지만,
작품의 설정을 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었다.
작업의 고수도 나름 사람을 선택하는 기준이 있는데...
작가는 나와 동갑으로 동시대를 살고 있는데, 사는 곳이 틀리다는 이유만으로...
사람을 잘 생겼다거나 성적 매력이 있다는 것만으로 선택한다는 설정이 말이다.

그러다가 이내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는데,
작가 자신의 가치관이 그렇지 않더라도 '무릇 글은 재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작가라면,
내용이 복잡하게 얽힌 머리를 쓰게하는 지적스릴러보단 쉽고 재밌게 가자고 생각할 수도 있는 노릇이니까 말이다.

덕분에 나도 그동안 읽은 '살인의 역사'나 '윈터 앤 나이트'랑 비슷한 분위기여서...
처음 읽기 시작하였을 때부터 끝을 예측할 수 있었으나, 작가의 필력에 빠져 끝까지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솔직히, 글의 시작에서 끝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스릴러'적인 요소는 많이 감소한다고 할 수 있지만,
얘기를 버무려서 포장해 내는 솜씨가 그런 부분을 메우기에 부족함이 없다.
잠시 이 소설의 장르를 '스릴러'가 아닌 '로맨스'물로 분류하여야 하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클라이맥스가 되는 갈등이 스릴러적인 요소가 강하다.

내가 사람을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 정황하게 얘기한 이유는, 이책을 읽으면서 다소 엉뚱한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거짓말이란 선의의,긍정적인 거짓'말'이니까, 말을 하지 않으면 거짓말을 할 필요도 없는 거다.
말이 아니어도, 진실을 상대에게 전달할 수 있는 많은 것들...
예를 들어, 마음, 눈빛, 손짓, 미소 같은 것들...우리가 교감이라고 부르는 것들이 있지 않은가?
이런 것들이야말로, 거짓말을 하지 않아도...
'명제'가 참(true)이냐 거짓(false)이냐를 전달 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하니...제목만을 갖고도 복잡한 생각을 하게 된다.

작가도 여주인공 '리들리 존스'가 얼굴이나 성적 매력만을 가지고 남자를 선택한게 다소 마음에 걸렸는지 개연성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우리는 그리 많은 얘기를 하지 않았다.둘 사이의 침묵은 편안했다.'

'...말따윈 값싸고 구차해 보였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만나자 마자 교감하며 '이심전심'이 될 수 있었을까?
'보는 사람이 없는 줄 알고 혼자 있는 모습을 보면 많은 것을 알 수 있죠. 난 그를 봤어요. 그 슬픔을 봤다고요.'

'그는 내 입술에 자기입술을 포개고 오래도록 부드럽게 입을 맞추어, 내속을 밝게 비춰주었다.'

이렇게 섬세하게, 상대방의 마음 깊숙히를 읽어내는 것은...첫눈에 반하여 이루어질 수 없는 게 아닐까?
'우리는 살아있고, 건강했으며, 서로에게 속해있었다. 그의 말처럼, 그것마저 못 누리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하는 부분들로 미루어,언젠가 이 둘이 진정한 의미에서 교감을 느끼게 될거라는 걸 짐작할 수는 있지만 말이다.

'누군가를 진정으로 알기 시작하면, 그의 육체적 특징 따윈 사라지기 시작한다. 그의 기운 안에 머물고, 그의 살 냄새를 알기 시작한다. 껍데기가 아닌 그 사람의 본질만 보인다. 그래서 아름다움과는 사랑에 빠질 수 없다. 그것을 갈망하고, 그것에 혹해 소유하고 싶어진다. 눈과 몸으로 사랑할 순 있어도 마음으로 사랑할 수는 없다. 그래서 어떤 사람의 내적 자아와 진정으로 연결되면, 모든 육체적 결점은 사라지고 무의미해진다.'

이렇게 잘 아는 사람이 첫눈에 반한 상대와 교감을 이야기한다는 게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었다.
이 부분이 아쉬운 부분이기도 한데, '카르마'랑 관련하여,

'...나는 균형을, 카르마를 믿기 때문이다. 모든 선에는 악이 있고, 모든 정의에는 부정이 있기 마련이다.'
라고 얘기한다.
모든 것을 '카르마'로 돌리다니, 참 아이러니컬 하다 싶다.
왜냐하면, 내가 아는 카르마란 균형이 아니라, 잉과응보이기 때문이다.
선과 악, 정의와 부정이 동전의 양면처럼 공존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나 공간적 순차에 따라 원인에 따른 결과로 나타난다고 믿기 때문이다.

만약...균형이라면, 그래서 공존하는 거라면, 선악이나 도덕적 잣대는 필요없이 마음내키는 대로 살면되는 거고,
그러면, 어느시대나 장소를 막론하고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카드 읽어주는 사람 따윈 필요없는 것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난 카드를 읽어주기만 하는거야.사람들은 자기를 이끌어주고 자기 문제를 들어주고 다 잘 될 거라고 말해줄 사람이 필요하거든...'
암튼, 다시 한번 느끼게 되는 것은,
사람은 누구나 자기만의 일들로 심각하고 외로운 존재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눈과 몸을 맞추기만 하면 외로움이 해소될 줄 알지만,
외로움은 실상 마음에 관한 문제라서 쉽진 않지만, 마음을 맞추고 나서야 해결될 수 있다.
이것이...이 봄, 내가 혼자 고고한 척 할 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댓글(28)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샘 2011-05-04 01:01   좋아요 0 | URL
고고한... 외로울 고, 높을 고, 찰 한,
그런 시집이 있잖아요. ㅎㅎ

외로워 마세요. 봄이든, 밤이든, 외로움은 쉽게 해소되는 건 아니랍니다.
이렇게 쓰는 것만으로도, 외로움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란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
그저, 고고한 사람이랄까. ㅎㅎㅎ

양철나무꾼 2011-05-04 01:22   좋아요 0 | URL
안 주무세요?
저희 아들은 내일 체육대회라고, 응원음악 만든다고 좀 전 까지 룰루랄라 거렸어요.

외롭고, 높은 것 까지는 감수하겠는데...차갑기까지요?
전 좀 넉넉하고 따뜻해졌으면 좋겠다니까요.

2011-05-04 0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5-10 15: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5-04 08: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양철나무꾼 2011-05-10 15:37   좋아요 0 | URL
원 나잇 스텐드를 언급한 사람은 주인공 여자가 아니고, 나였어.
결국 난 피상적 관계 및 대인 관계 회피를 위한 자기 방어 기전이 작용하고 있다는 거네~ㅠ.ㅠ
분석만 말고...처방도 좀~

자기의 살이 쪘다는 말이 아직은 투덜거림으로 들리지만서도...

마녀고양이 2011-05-10 16:05   좋아요 0 | URL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양철나무꾼 2011-05-11 11:15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감기 따위는 떨쳐버리셨삼?

책가방 2011-05-04 13:59   좋아요 0 | URL
외로움은... 내가 외로울거라고 아무도 눈치채지 못할 때 더 외롭지 않을까 싶어요.
누군가 내가 외로울 걸 미리 알고 말을 건네주면 더이상 외롭지 않을 듯...

외로움이 마음에 관한 문제라는데는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양철나무꾼 2011-05-10 15:41   좋아요 0 | URL
미리 알고 다가가 손 내미는 거...쉽지 않지요.
전 이 외로움에 대해서 이중적이예요.
맨날 외로워, 외로워 하면서도 먼저 다가가 손 내미는 거, 잘 못해요~ㅠ.ㅠ

반딧불이 2011-05-04 14:01   좋아요 0 | URL
마음을 맞추고나면 정말 외롭지 않을까..기대하는 것도 지쳐서 그냥 외로움을 사랑해버리고 싶어지는데요.

양철나무꾼 2011-05-10 15:45   좋아요 0 | URL
님의 짧은 댓글을 한참 생각했어요.
전 한때 남편이랑 눈빛만으로 통하는 그런 사이란 걸 뿌듯해 하고,
말 안해도 미루어 짐작하고 행동했었어요.
그런데 미루어 짐작하는게...상대방을 온전히 이해하는 건 아니더라구요.

이제는 많은 대화를 나눌려고 노력하고,
대화가 안 되면 혼자서 재잘대지요, 때로는 혼자서 궁시렁거리구요~^^

애쉬 2011-05-04 22:10   좋아요 0 | URL
양철댁님 찌찌뽕이예요~~
저도 얼마전에 이 책 읽었거든요. 와` 신기하다~ 출간된지 꽤 된 책인데.
저도 즐거운 독서이긴 했는데요, 저도 주인공들의 감정선을 따라가는 게 약간...
아, 그런가? 싶다가도, 그렇게 싶게?? 하는 부분들이 있더라구요.

양철나무꾼 2011-05-10 15:48   좋아요 0 | URL
이 책 그러니까 두번 읽었어요.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고,
읽은 거 조차 까먹고 있다가 누가 선물해 주길래 다시 읽고 느낌을 남겼었어요.
좋았지만, 두번 읽을만한 책은 아니었는데 말이죠~^^

2011-05-05 08: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5-10 15: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머큐리 2011-05-05 20:08   좋아요 0 | URL
양철댁의 별 다섯은 항상 구매충동 + 읽기충동을 일으킨단 말이죠...^^

양철나무꾼 2011-05-10 15:57   좋아요 0 | URL
이 책, 두 권 가지고 있어요.
주소 알려주시면 한권 나눠 드릴 의향 있어요~^^

2011-05-06 00: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5-10 16: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5-06 12: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05-10 16: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루쉰P 2011-05-06 21:03   좋아요 0 | URL
카르마에 대한 부분은 양철댁님의 지적이 맞아요. 카르마는 숙업으로 번역되는데 그 뜻은 익혀진 행동으로 한다고 하더라구요. 작가들은 더 치밀하게 단어를 파헤쳤으면 좋겠어요. 전 이런 사소한 부분에 은근히 울컥해서 작가의 수준을 평가하는 오만함을 보입니다 ㅋ

양철나무꾼 2011-05-10 16:15   좋아요 0 | URL
카르마 라는 단어가 등장하는 걸로 미루어 짐작하셨겠지만, 이 책도 그러니까 그런 류의 책입니다.
이런 류의 번역이 힘든 것은...
작가가 용어를 제대로 알고 썼는지가 하나이고,
그걸 역자가 적절하게 번역했는지가 또 하나입니다.
작가가 카르마라고 썼더라도 전후 문맥으로 치면 다른 용어로 대치되는 게 더 나을 듯 하죠.
내공은 작가에게만 해당되는 말이 아니고, 역자에게도 통용되는 말입니다.

사소한 부분에 은근히 울컥하는 것까지 우리 닮았는걸요~^^

루쉰P 2011-05-10 16:19   좋아요 0 | URL
역시 치밀하신 양철댁님 지적에 혼자 끄덕이고 있는 중이에요 ^^ 댓글 남기시는 시간을 보니까 저랑 같은 시간에 접속하신 듯 해요. 사소한 것도 닮았는데 접속시간까지 닮다니..^^ 왠지 전생에 알던 분 같은 카르마의 인연이 느껴지네요.(카르마란 단어의 사용법 문맥에 맞나요 날까로운 지적 부탁드립니다)

양철나무꾼 2011-05-11 11:22   좋아요 0 | URL
넷상에서지만...같은 시간에 접속해 있다는 것은, 소통인 듯 느껴져 묘하게 설레이죠~^^

그리고 카르마란 단어의 사용법(^^)은 저도 잘 몰라요.
전생이나 인연이나 카르마나 이런 쪽으론 저보다는 님이 한수 위이시면서,ㅋ~.

루쉰P 2011-05-11 11:49   좋아요 0 | URL
ㅋㅋㅋ 양철댁님보다 한 수 위라고 하시니 완전 민망함! 인연의 본래 뜻은 만물은 그리고 모든 생명체는 연결돼 있고, 너가 있으므로 내가 있다라는 것이 그 핵심이라고 알고 있어요. 양철댁님이 있으므로 루쉰p가 있다는 그런 뜻??

같은 시간에 접속되면 은근히 추적하면서 댓글 달게 되죠. ㅋㅋㅋ 전 그런데 좀 열광하는 스타일이에요.

양철나무꾼 2011-05-11 12:33   좋아요 0 | URL
왕의 남자가 생각나는걸요~^^

너 거기 있고 나 여기 있다 해서 다른게 뭐가 있겠는가?
나 여기 있고 너 거기 있느냐?
나 여기 있고 너 거기 있지?
거기가 어디고 여기가 어딘가...
몸뚱아리가 어디 있든지 간에 마음이 중요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