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뺨에 서쪽을 빛내다 ㅣ 창비시선 317
장석남 지음 / 창비 / 2010년 8월
평점 :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말이 있다.
밥만으론 살 수 없다는 말도 어디선가 주워들은 적이 있다.
자칭...감수성 충만,로맨티스트인 꽃중년인 우리 남편은 요즘 어떤 생각과 고민을 하며 살까 싶었었다.
남편이 흘리고 다니는 생각과 고민 한자락을 주워 엿보게 됐다 하더라도,
이게 이 시대 중년들의 보편적인 생각과 고민일까 궁금해 어떤 기준을 갖고도 싶었었다.
이 기준이란 것이 사회적이거나 도덕적이 아닌 적당히 비겁한 이 시대 꽃중년의 그것이었으면 좋겠다 싶었고,그런 의미에서 그의 전작 <왼쪽 가슴 아래께의 통증>정도의 Feel이면 딱이겠다 싶었다.
시인이 될 순 없으나 시인을 따라 살아보는 것도 나름 재미있다.
누가 나이가 먹으면 반대 성의 호르몬이 우세해 반대 성화 된다고 하였나?
이 시인을 가만히 쳐다보고 있으면,오지랖 넓은 아즘의 마인드를 터득하여 그 마인드를 적절하게 잘 운용하며 살고 있구나 하는 느낌이 든다.
나는 그런 그에게 오지랖을 보태며 참견하며 이 시들을 읽고 싶다.
(그렇다고 내가 이 분의 열성 팬이나 스토커를 자처하겠다는 건 절대 아니다.)
<동지>에는 시를 짊어지고 바위를 한번 밀어보러 가주셔야 하고,
'한덩어리의 밥을 찬물에 꺼서 마시고는' <싸리꽃들 모여 핀 까닭 하나를>알아내야 한다.
(싸리 꽃은 주로 절 뒤란에 흐드러지게 피는데,신부전에 주효인 싸리꽃과 절의 스님과의 상관 관계까지 알고 있어야 이 시가 깊어질 수가 있겠다.)
<말린 고사리>한뭉치의 무게도 곰살맞게 가늠해야 하고,
<묵집에서>묵을 먹으면서 사랑도 생각해야 한다.
<허공이 되다>에선 강아지를 내주면서 어미개의 마음을 헤아려야 하고,
<문 열고 나가는꽃 보아라>에선 작약꽃밭에서 할머니와 손주 훈수도 두어야 한다.
<겨울 시금치밭>에서 '내 그림자를 포개 나누며 섰'기도 해야 한다.
개인적으론 <불을 끄면>이 좋았는데,경험이 베어난 시는 이래서 읽는 이에게도 울림을 주나보다.
<나의 하관>이나 <변기를 닦다>에선 도덕적인 반성의 기미 씩(?)이나 엿보인다.
나의 가슴이 요정도로만 떨려서는 아무것도 흔들 수 없지만 저렇게 멀리 있는,저녁빛 받는 연(蓮)잎이라는가 어둠에 박혀오는 별이라는가 하는 건 떨게 할 수 있으니 내려가는 물소리를 붙잡고서 같이 집이나 한 채 짓자고 앉아 있는 밤입니다 떨림 속에 집이 한 채 앉으면 시라고 해야 할지 사원이라 해야 할지 꽃이라 해야 할지 아님 당신이라 해야 할지 여전히 앉아 있을 뿐입니다
나의 가슴이 이렇게 떨리지만 떨게 할 수 있는 것은 멀고 멀군요 이 떨림이 멈추기 전에 그 속에 집을 한 채 앉히는 일이 내 평생의 일인 줄 누가 알까요
- <오막살이 집 한 채 >전문 -
불을 끄면 모두 눈을 달고 살아나서 무서웠지
눈 감았지
철이 들면서 불을 끄면
다 보이지 않으니 좋다,
웃음이 솟아도
눈물이 불쑥 와도
좋다,
그렇다가도
끝내 다시 불을 켜서
한꺼번에 서른도 마흔도 또 쉰도 먹는 날이 있었지
불을 끄면
그대로 새벽포구와도 같아져서
미끄러지는 미명들을 받아안고
맥박을 세지
- <불을 끄면>전문 -
성북동에 가면,'쌍다리길'이라고도 불리우는 그의 집이 있고,그의 집 바로 밑에는 '덴뿌라'라는 촌스러운 이름이 붙은,탁자가 단 두 개뿐인 선술집이 있단다.
그 동네 주민도,딴따라도 아니지만...
시대가 하수상하고 어지러워 내가 가진 불이 흔들리고 꺼진다 싶을 때...
조용히 그를 찾아나서야 겠다.
그가 가진 불이 밝혀져 있다면 방향을 잡는 등대로 여기면 될 것이고,
그의 불도 흔들리고 꺼진다 싶으면...심지를 돋우고 곧추설 수 있을 만큼만 잠시 바람막이로 서 있다가 돌아와야 겠다.
'뺨에 서쪽을 빛내'는 일뿐만 아니라,
날이 어두워지고 다시 '날이 새는데도 너무 많이 훔치는 바람에 그만 다 지고 나올 수가 없'다면...
그의 시집을 헛 읽은 것일 테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