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능력이 따로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어쩌면 어휘력이나 독해력을 염두에 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책 읽기에 필요한 것은 뛰어난 지능이 아닙니다. 정말로 필요한 것은 책에 대한 관심과 책을 받아들이는 태도뿐입니다. - P56

진정한 독해력이란 문자를 정확히 읽어 내는 능력이 아니라 무엇을 읽건 거기에서 삶을 바라보는 능력입니다. - P57

그는 선택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문제(하지만 우리가 깜빡깜빡 잊는 문제), 바로 ‘자신을 존중하는 선택을 할 것인가, 자신을 포기하는 선택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의 가치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걸어갈 길을 선택했습니다. 이 질문과 선택은 언젠가 우리 모두가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 P82

책은 말만으로는 현실을 제대로 이해할 수도, 표현할 수도 없는 것을 애써 표현하려는 그 지점에서 시작됩니다. - P90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침묵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말할 수 없는 것, 말하기 어려운 것이야말로 말을 하게 하는 열정의 토대라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 삶에서 책이 차지하는 중요한 의미일 겁니다,. - P90

우린 위로란 말에 마음이 흔들립니다. 그렇지만 자신을 스스로 충분히 존중하지 못하는 사람은 어쩌다 받은 위로조차 의심하기 마련입니다. - P92

세계뿐 아니라 자신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사유를 할 수 없습니다. 자신을 충분히 존중하지 못하는 사람일수록 사랑과 위로만 찾게 되지만 그런 사람은 막상 사랑과 위로가 쏟아져 내려도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못합니다. 그래서 위로가 필요한 사람은 어떻게든 자신을 존중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 P92

진정한 위로는 진정한 희망이 그러하듯, 상황을 좋게 보는 데서 생기는 게 아니라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는 데서 생겨나는 것입니다. - P101

연결을 위해선 모든 것을 새롭게 볼 수 있어야 할 텐데, 바로 이것이야말로 책이 가장 잘 도와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책은 진부한 것들을 담고 있어도 그것들을 새로운 디테일과 새로운 태도로 보여 주니까요. - P144

자기 선택과 자유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은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 아니라 고귀한 일이란 것을 아는 사람이 고매한 사람입니다. - P163

고매한 사람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고매한 태도를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고매합니다.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 최고의 독자가 아니라, 고매한 태도를 가진 독자라면 누구나 책에서 최고의 것을 가져가는 최고의 독자가 될 수 있습니다. - P1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