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다는 것 - 독서법 전통을 통해서 본 성경 읽기와 묵상
강영안 지음 / IVP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야말로 종횡무진이다. 고수에게만 느낄 수 있는. 자유롭지만 절제되어 있고, 쉽지만 깊다. 현재 미국 칼빈신학교 철학신학교수로 재직중인 강영안(1951~)은 동서고금(東西古今)을 오가며 '읽는 것'이 무엇인지를 밝힌다. 이 책에서 호명된 철학자와 신학자만으로도 이 책의 깊이를 가늠할 수 있다. 장자(莊子, 기원전 369년?-기원전 286년)와 주희(朱熹, 1130~ 1200),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 354~430),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1906~1995), 바르트(Karl Barth, 1886~ 1968) 등. 다 언급할 수가 없다. 더군다나 단순한 언급 차원이 아니라 그들의 사상을 명확하게 분석하여 설명하고 우리에게 적용한다. 


저자는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1909~1998)과의 대화를 통해 경험했던 충격으로부터 이 책을 시작한다. 그 질문으로부터 "참된 읽기"가 무엇인지, 어떠한 과정으로 읽어야하는지, 읽는 행위는 어떻게 삶과 연결되는지에 대한 답을 찾아간다. 그 과정은 더디지만 세밀하다. 빨리 결론에 도달하고자한다면 여유를 가지고 이 책을 읽으시라. 단숨에 읽기에는 벅차다. 하지만 조금만 집중하면 곧 흥미롭게 책에 빠져든다.


텍스트를 어떻게 대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야하는지를 폭넓게 살펴보았다면 이제 성경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성경이 어떤 성격의 책이며, 그렇기에 성경을 어떻게 대해야하는지 주장한다. 모든 텍스트가 그렇지만 특히나 성경은 전인적 읽기가 필수다. 더불어 저자가 강조하듯 읽기의 행위는 삶과 연결되어야만 한다. 삶과 동떨어진 읽기는 제대로 읽는 행위라고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앎과 삶을 연결할 수 있는가? 저자는 마지막 장에서 성경을 읽는 행위와 다른 텍스트를 읽는 행위의 분명한 차이점을 강조함한다. 즉 그 명백한 차이로 인해 우리의 읽는 행위는 삶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세심한 편집을 통해 완성도를 높였다. 각 챕터의 끝에 있는 '다리 놓기'는 질문과 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책을 읽으면서 느낄만한 질문들이 어느정도 해소된다. 또한 '토론과 적용을 위한 질문'을 매챕터마다 구성하여 홀로 읽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적으로 읽고 나눌 수 있도록 배려한 것 같다. 마지막으로 '추천 도서'를 통해 더욱 깊은 연구를 위해 도움을 주고 있다. 각 주제에 대해 더욱 풍성한 배움이 가능하도록 한 듯하다. 


​가장 큰 아쉬움은 6장의 내용이다. 우리들교회에서 열린 세미나가 이 책의 초안이기에 선택된 챕터인듯하다. 하지만 단행본으로 엮어서 나올 때 굳이 포함되어야 할 내용인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 약간의 언급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아무튼 그럼에도 이 책은 '읽음'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이 망라되어 있기에 '읽기'를 즐겨하는 모두에게 유익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