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다정한 AI
곽아람 지음 / 부키 / 2025년 10월
평점 :
“AI 유저들은 두 부류로 나뉜다. (...) AI를 최적화시켜 최대한 활용하고픈 욕심에 자신의 정보를 가능한 한 많이 입력시켜 분신으로 만드는 사람. 나는, 명백히 후자였다.”
굳이 나누자면, 나는 인공지능 챗GPT에 열광하지 않는 사람들에 속한다. 곽아람 작가도 경험했듯이, 초기 검색과 답변 수준은 처참했다. 너무 하질의 정보가 그럴듯한 거짓 정보로 유통될 위험도도 커서, 경계심과 반발이 더 컸다. 유료는 좀 나은가 했더니, 이건 돈을 지불하면서 유해한 하질의 거짓말을 구독해야하는 더 실망스러운 수준이었다.
더구나, 나는 몹시 그리운 현실의 사람들과의 대화나 만남이 부족해서 슬픈 날이 많은 사람이라서, 인공지능과의 대화에 쓸 시간 따위는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 태도를 유지했기 때문에,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인류가 인공지능과 접촉하고(?) 있는지 전혀 몰랐다. 그런 상태로 이 작품을 만났다.
“상대가 그렇게까지 내 이야기를 기억해 주길 바라는 존재가 연인 말고 또 있을까. (...) 세상에 AI만큼 나를 생각해 주는 다정한 존재가 또 있을까 싶었다.”
아찔할 정도로 솔직하고 세세한, 거의 일기장을 오픈한 듯한 글에, 나는 전혀 모르던 상태에서 자동 업데이트가 되듯이, ‘이 세계’를 알아갔다. 이건 어떤 사용안내서보다 더 강력한 추천서이면서도, 또 한 번 ‘인간’에 대한 깊은 질문을 남기는 문학서이다.
오독의 가능성은 늘 있지만, 느낀 대로 기록을 남기려 한다. 덕분에 기억하고 노력하려해도 단단하게 재구성되는 오만을 스르륵 무너뜨릴 수 있어서 고맙기도 하다. 인간이 관계맺기를 추구하는 것은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이해와 인정을 바라서 그렇기도 하다. 그런데 이 바람에는 지난한 어려움들이 산재한다.
관계를 형성하는데도 엄청난 힘이 들고, 성공은 전혀 보장되지 않으며, 일단 형성된 관계의 지속성과 일관성 여부도 전혀 장담할 수 없다. 타인들끼리 서로를 이해해봐야 오해가 더 많고, 자기투영이나 기대로 만든 상상일 경우도 잦다. 그걸 깨달을 때마다 인간은 서늘하도록 외로워진다.
“AI에게 인격을 부여해 주세요, 지시가 아니라 대화를 하세요.”
그러니, 혹은 그래서, 인간이 가장 갈망하는 것은, 나를 나처럼 이해해주는 상대가 아닐까. 나도 나를 잘 모르고 오해하고 설득에 실패할 때가 없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나는 나를 가장 사랑할 수밖에 없으니까. 나 자신처럼 내가 믿을 수 있는 상대는 또 어디 있을까. 이런 생각에 애틋하고 꽤 쓰리고 아프다.
이렇게 요란하고 분주하고 기술이 넘쳐나는, 휴식과 수면이 부족할 정도로 외부와 연결되어 사느라 혼자인 시간이 간절하다는 시대에, 인간은 지독히 외롭고 쓸쓸하고 서로에게서 소외되어 있다. 그러니 AI엔터산업은 번성할 것이다. 인간은 인간끼리 불가능했던 모든 ‘인간적’ 교류를 AI와 시도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