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상하는 뇌 -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단 하나, 상상에 관한 안내서
애덤 지먼 지음, 이은경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10월
평점 :
충격적으로 사고를 전환하게 되는 계기들이 있다. 내게 그 중 하나는, Intelligence is larger than reality 란 문장이었다. 뇌과학이나 신경과학이 전공은 아니지만, 이후로 내내 인간의 뇌와 기능과 현실이라 부르는 것은 무엇인지 궁금하다.
수면 중에도 코마 상태로도 펼쳐지는, 혹은 더 광대하게 펼쳐지는 상상하는 뇌가 경험시켜 주는 시공간들... 상상의 기원과 진화 그리고 오류들을 밝히는 이 책은 내가 품은 관련 의문들에 모두 답해 줄 책일 것 같아서 표지만 봐도 심박이 기쁘게 빨라진다.

“전 세계에서 실시된 유사한 연구들은 우리가 대체로 평소 활동하는 시간 중 4분의 1에서 절반 정도는 몽상에 잠겨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과학이 보유한 가장 큰 능력은 설명의 힘이다. 이 책은 다른 대중과학서보다 현저히 더 쉽고 친절하게 쓰였다. 신경과학에 대해 내가 뭘 알고 있었나, 싶게 막힘없이 읽을 수 있어서 어리둥절할 정도로 놀랐다. 읽는 부담이 없어서, 2장 읽고 다시 1장부터 읽을까 싶기도 했다. 덕분에 참 즐거웠다.
아주 오랜만에 아주 긴 휴가를 보내면서, 날이 갈수록 점점 더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고, 할 수 없게 되는 와중에, 이렇게 재밌는 주제로 기분 좋게 전달하는 이 책이 아니었다면, 단 한 권의 책도 읽지 못했을 것이다. 상상을 배우고 상상하게 하는 효과까지 있으니 편안한 시간에 채색을 더하는 듯.
“우리가 ‘본다’고 느끼는 결과는 단순한 사실이 아니라, 수백만 년에 걸침 진화의 산물인 감각 기관, 특정한 방식으로 세상을 보도록 형성된 문화적 유산(언어와 상징 체계), 그리고 현재를 강하게 지배하는 개인의 경험이 복합적으로 얽혀 만들어낸 것이다.”
그 덕분이었을까, 비로소 이해하게 된 상상의 원리와 힘은, 다채로운 꿈을 선물해주었다. 오감 경험뿐만 아니라, “슬픔에서 환희, 배고픔에서 아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감정을 상상을 통해 어느 정도 다시 경험할 수 있”었다. 답답한 마음이, 어느 밤 한 꿈속에서, 다른 세계, 다른 이웃들과 자유롭게 실현되었다.
실체를 실제로 아는 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대상이 나 자신이든 이 세상이든, 타인이든, 이해의 핵심 도구는 ‘상상’이다. 그렇게 우리는 “과거의 사건과 미래의 가능성이 겹쳐져 울리는 ‘두터운 현재’ 속에 살아간다.” 방황하는 마음이 아닌 상상이 제대로 힘이 되고 진화의 동력이 되려면, ‘행동’해야한다.
“우리 인간은 참신한 상상을 하면서 생계를 꾸러왔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이를 혼자가 아니라 함께 했다.”* 마음, 양심, 정신은 모두 뇌에 깃들어 있다. 우리는 “체화된 존재”다. 그러니, 낯설고 혹 어렵더라도 ‘뇌’를 배우고 이해해야, 개인, 관계, 사회, 세계의 문제들이 보이고 바꿀 힘을 찾을 수 있다.
* ‘의식’은 ‘지식을 함께 나눔’을 뜻하는 라틴어 콘시엔티아conscientia에서 유래했다.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어울리지 않는 고정된 거짓 믿음”은 망상이다. 안타깝게도 설득으로 바꾸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기능 장애나 병리적 현상의 밑바탕에 “본질적으로 상상이나 모방에서 비롯된 과정”이 있으며, 그 작동 원리, 형성 과정을 연구하고 있으니 해결의 희망은 있다.
우리 뇌는 “끊임없이 창의적으로 생산적인 활동”을 통해 “의미를 찾는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니 막막하고 깜깜하고 갑갑하다고 느끼는 현실도, 우리가 함께 인간답게 바꿔나갈 수 있다. 그 가능성은 ‘상상’이 멈추지 않는 한, 없어지지 않는다. 그 길에 이 책은 참 좋은 안내서다. #강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