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짜 환자, 로젠한 실험 미스터리 -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무너뜨린 정신의학사의 위대한 진실
수재나 캐헐런 지음, 장호연 옮김 / 북하우스 / 2023년 11월
평점 :
아직 2023년이 남았지만, 이 책을 읽는 내내 올 해 최고의 추리, 스릴러, 호러 작품을 만난 기분이었다. 현실이라서 더 무서웠고, 지금은 그때와 다를 거라는 생각을 되뇌며 스스로를 진정시켜야했다.
우선 저자의 사연이 드라마보다 더 극적이고 스릴러보다 더 끔찍하다. 도대체 ‘자가면역 뇌염’이 어떻게 ‘조현병’으로 오진되어 강제 수감까지 이르렀는지. 그러나 ‘누구’의 사연인가가 중요한 책이 아니다. ‘누구라도’ 오진을 받고 잘못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그 지점을 정확히 들여다보는 일이 중요하다.
마침 지난 주에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추천받아 넷플릭스에서 보았다(아직 다 못 봄). 다큐멘터리가 아님에도 낯설지 않은 사례들, 먼저 본 친구가 많이 울게 된 이유를 짐작해보며 아픈 이들에 대해 생각했다.
‘정상성’이 가진 폭력성과 ‘질병’ 분류화 작업이 임의적인 권력의 결정이 아니가 자주 생각한다. 여러 의문만큼 정신의학의 역사는 지뢰밭이라 이 책은 무척이나 충격적이다.
여러 시행착오는 필연적이지만, 이 책에서 다루는 미스터리 ‘로젠한(사고)실험’은 충격의 정점이다. 다른 의학 분야와 달리, 정신의학이 다루는 분야는 보이는 병변의 실체가 없고, 환자가 자신의 병에 대한 인식이 없는 경우도 많고, 강제 수용도 가능한 유일한 분야이다.
“온전한 정신과 정신이상이 존재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알까?”
로젠할 실험의 내용을 읽고 나니, 내 기준에서 그는 정직한 연구자가 아니다. 실험의 목표와 결과에만 집착해서 실험대상이 되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고 결과도 조작된 내용이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정신의학의 현재와 한계를 더 이상 충격적일 수 없게 드러낸 역할을 분명하기도 하다.
“로젠한의 논문은 과장되기도 했고 부정직한 면도 있지만 그럼에도 진실을 건드렸다.”
2023년에도 정신병을 고친다고 무당을 불러 굿을 하다 사람이 죽었다는 기사를 본다(제목만 봐서 정확한 내용은 모름). 의학이 출현하기 전 19세기 이전의 인식과 대응법이다. 물론 초기 정신의학은 ‘과학’이 아닌 ‘개념’에 기반을 둔 위험천만한 치료가 많았다.
제한된 지식과 정보, 기술적 도움을 받아 뇌를 들여다볼 수 없었던, 참고한 데이터가 적었던 시대에, 의사는 어떤 최선의 진단을 내릴 수 있었을까. 오진으로 되돌릴 수 없는 피해를 입은 분들을 생각하면, 변명도 설명도 무용하겠지만, 아무리 피하고 싶어도 ‘그 당시의 제한 조건들’ 때문에 참으로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그러니 누구라도 성급해서는 안 된다. 오래 살피고 관찰하고 신중하게 판단하고 부족함이나 잘못은 정직하게 인정해야한다. 어느 분야나 그렇지만, 정신의학에서는 그런 노력과 신뢰관계가 더욱 중요하다. “무엇이 정상이고 무엇이 비정상인가?”의 분류는 지금도 수정되고 변화하고 있다.
전문가도 종사자도 아닌 나는 ‘정신의학의 본질이 무엇인지’ 모른다. 다만 상담과 복약과 치료가 필요한 수많은 이들의 안전을 염려할 뿐이다. 이 책은 의학 서비스 제공자이든 요구자이든, 어떤 태도로 접근해야 하는지, 왜 더 신중해야 하는지, 어떤 위험이 있는지를, 극적이고 충격적인 방식으로 인지할 수 있게 돕는 귀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