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이들을 보내놓고 한가득 쌓인 설거지거리를 보다가 언젠가는, 그래 언젠가는 조용한 아침이 올거야, 하는 생각을 했다. 내가 마신 커피 잔 하나, 내가 먹은 빵 접시 하나, 커피를 저었던 예쁜 티스푼 하나, 그것만 설거지해도 되는, 그런 조용한 아침. 아이들이 벗어 놓고 간 옷가지들을 주워담으며 언젠가는 일주일동안 빨래를 하지 않아도 빨래통이 다 차지 않는 그런 날도 올거야, 했다.
너무 조용해서 오히려 쓸쓸한 아침. 그 때에는 아침에 한 청소가 다음 날 아침에도 유효할 거다. 나는 지금보다 훨씬 늙어 있겠지만 어쩐지 그런 아침이 기다려진다.
어제부터 다시 요가를 시작했다. 근처 초등학교에서 한달에 만원만 받고 일주일에 두 번씩 요가 수업이 있다. 춥고 귀찮다고 겨우내 푹 쉬다가 오랜만에 운동이랍시고 했더니 어깨, 팔, 옆구리, 다리 뒤쪽이 땡기고 뻐근하다. 묵묵히 숨어 일하던 근육들이 난데없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려 나서는 것 같다. 근육이 그려진 인체의 그림을 앞에 놓는다면 내가 움직일 때마다 어느 근육이 움직였는지 다 짚어낼 수 있을 것 같다. 이렇게 해서라도 살이 조금이라도 빠진다면 이 고통이야 얼마든지 참아줄 수 있다. 그런데 오랜만에 뵌 요가 선생님은 나와는 대조적으로 겨우내 더 말랐다. 사람이 그럴 수도 있구나, 겨울은 당연히 살이 찌는 계절이라고 생각했는데, 저렇게 마를 수 있다는 게 신기하다.
요가를 마치고 아파트 친구랑 같이 한살림에 들러 장을 보고 집으로 돌아오다가 올봄 첫 민들레를 만났다. 보통 3월 15일 전후로 해서 그 해 첫 민들레를 만나는데,(작년엔 3월 17일, 재작년엔 3월 14일에 만났다) 올해는 정말 늦게 만난 셈이다. 그것도 보도블럭 틈새에서 푸른 이파리 하나 제대로 펼치지도 못하고서는 땅바닥에 납작 엎드린 채로 노란 얼굴을 내밀고 있었다. 그제 길상사 다녀오는 길에서도 그렇게 두리번대며 찾았는데도 보이지 않더니. 그래, 민들레 너는 그냥 일상의 늘 다니던 길에서 문득 만나야 더 반갑지.
아파트 단지 앞산에는 개나리도 만개했다. 해마다 개나리 축제가 벌어지는 산인데, 이상하게도 한 번도 개나리 축제 때는 정작 산을 올라가 본 적이 없다. 그래서 올해만큼은 꼭! 개나리 만개한 산에 아이 손 붙잡고 오르리라고 겨울부터 작심을 했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쌀알처럼 붙어 있던 매화꽃눈들도 하나씩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다. 이제 열그루 매화길을 지날 때마다 코를 들고 콧구멍을 벌렁거리며 매화향을 흡입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는 계절이다.
그런데 오늘, 며칠 전 부터 예고했던 비가 내린다. 일찍 집을 나서는 큰애들에게 우산을 챙겨주면서 절대로 비맞지 않게 조심하라고 이르고, 어린이집에 가는 막내에게 비옷을 입히고 우산을 씌우고 마스크까지 해줬다.
꽃은 여기저기서 피고 볕은 따스한데, 자꾸만 이 봄이 불길하다.
봄날의 조용하고 평화로운 아침을 바랐는데, 문득 불길하지만 않아도 좋겠다는 마음이 드는 거,
좀 슬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