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에 내 생애 첫 독서모임이 시작되었다. 도서관 관장님이 멍석깔고 판을 벌여서 내가 속해있는 책고르미 모임에게 독서모임의 주도적 역할을 부탁해서 시작된 거다. 돌이켜보면 애서가 축에는 끼지 못하더라도 책 읽기를 나름 즐기는 편이었는데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독서모임을 해 본 적이 없었다. 책읽는 건 좋지만 읽은 책을 두고 토론을 벌이는 건 피곤하고, 남들 앞에서 책 읽고 난 후의 내 속내를 다 드러내 보인다는 것도 탐탁치 않았고.. 뭐, 이런 저런 이유에서였다.
내가 속해 있는 도서관 모임이 '마음을 여는 책읽기'라는 엄마들의 독서모임을 주관하게 되어 얼떨결에 하게된 모임이지만, 부담이 덜 했던 건, 우리가 주도해 가는 것이 아니라 신동호 시인이 함께 모임을 진행하신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뭔가 한 수 배우게 될 거라는 기대도 있었고. ^^
독서모임의 첫번째 책은 신경숙 작가의 <엄마를 부탁해>였다. 10명의 엄마들이 서로 책을 읽고 난 느낌을 이야기 했는데, 다행이었던 건, 그 책을 읽고 울었다는 사람은 단 두세명에 불과했다는 것. 나만 메마른 게 아니었구나, 하는 안도감을 느꼈다. 난 28쪽의 우물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는데, 다들 공감해주었다.
신동호 시인은 우물에 대한 이야기에 몇 가지 질문을 덧붙이셨다.
1. 우리의 여성으로서의 감정의 우물을 시멘트로 덮어버린 사람은 누구인가..
2. 실재의 우물은 누가 덮는가.
3. 우물을 덮고 있는 시멘트를 걷어낼 생각은 없는가.
대부분의 엄마들이 첫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상처받지 않기 위해 스스로 우물을 덮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실재의 우물은 남성성으로 상징되는 산업개발주의에 의해 덮였다는 설명이 있었고, 시멘트를 걷어내고 내 감정이 있는 그대로 드러나기 시작하면 감당하지 못할 것 같아서 걷어내기가 두렵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다.
시인선생님의 마지막 질문은 "모성은 절대불변의 영원성의 가치를 지녔는가"였다. 여러 엄마들이 희생이 곧 모성은 아니며 모성도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는 쪽으로 이야기가 흘러갔는데, 시인선생님은 "모성은 근대산업사회의 산물이다"라는 미셀 푸코의 말을 인용하면서 근대이전의 사회에서 아이는 곧 노동력일 뿐이었으며 근대산업사회의 규격화의 시기가 '갇힌 여성'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설명하셨다.
그리고 '시대의 우물을 걷는 여성'이 되라고. 자기의 추억을 만들어가며 사회 안에서의 나, 통시적인 시각에서의 내 인생을 조망하는 여성이 되라고 당부하셨다. 모임을 끝내고 나니 <엄마를 부탁해>라는 책이 단순히 가족과 엄마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역시 이끌어주는 분이 계시니 책을 읽고 나서의 생각도 한차원 더 높이 올라갈 수 있구나, 싶어 기분이 좋다.
다음 목요일에 있을 두 번째 모임의 텍스트는 오기가니 나오코 감독의 일본영화 '카모메 식당'이다. <엄마를 부탁해>모임 그 다음 날 오전에 도서관에 모여서 미리 영화를 봤다. 작년인가에 봤던 영화인데 두 번째 보니 더 좋다. 난 왜 <엄마를 부탁해>보다 <카모메 식당>을 보면서 더 콧등이 시큰해지는 걸까. 작년에 볼 때에도 사치에가 미도리에게 밥을 차려주는 장면에서 울컥했더랬다.
'마음을 여는 책 읽기'모임의 커리큘럼이 조정될 예정이다. 시인선생님이 자연과학과 인문학 책을 좀 넣어보자고 하셨고, 우리도 동의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카모메 식당 다음에 <새벽 세 시, 바람이 부나요?>를, 그러고나서 <욕망하는 식물>을 가지고 모임을 갖기로 했다.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