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에도 헤라의 젖방울이 떨어졌다. ^^  헤라클레스가 헤라의 젖을 너무 힘차게 빠는 바람에 헤라의 젖방울이 떨어져 백합이 되었다는데, 우리집 화단에도 하얀 백합이 피어났다. 

우리말로 흰나리라고 부르는 게 더 정감있기는 하다.  화단에 핀 하얀 백합은 꼭 동그랗게 펼쳐진 신부의 화려한 웨딩드레스 같기도 하다. 

 그러나 저 수술과 암술을 보면 안어울린다 싶을 정도로 생경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순결해보이는 하얀 꽃잎과는 다르게 좀 음란스럽게 보인다.  

백합처럼 수술과 암술을 저렇게 적나라하게 드러낸 꽃도 없는 듯...

(그런데 털은 왜 난거야?)

인터넷에서 백합에 대해 찾아봤더니, "백합"이라는 말이 옛 사람들의 배고픔에서 비롯된 꽃이름이란다.

예전엔 사람들이 꽃의 아름다움보다는 식용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구근이 백개의 인편으로 되어있는 것을 보고 백합이라고 불렀다고..

배고픈 설움이 담겨있는 이름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그동안 꽃의 미적인 면만 보고 좋아했던 내가 잠시 부끄러웠다.

또 중국 후한시대에는 젊은 여자가 멍청해지는 병을 백합병이라고 했다는데, 그 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풀뿌리를 백합이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백합 구근을 약용으로 꾸준히 먹으면 똑똑해질 수 있는 걸까?  뭐, 멍청해지는 걸 예방할 수만 있더라도 대단할텐데..

백합이 이브의 눈물이라는 전설도 있다. 에덴에서 쫓겨난 이브는 이 세상 먹고 사는 고통이 너무 힘겨워 눈믈을 흘리며 나날을 보냈는데, 그 눈물이 땅에 떨어져 흰나리가 되었단다. 

붉은 나리에 대한 전설도 있었다.   성경의 마태복음 6장 28절에 "들의 나리꽃이 어떻게 자라는 가를 생각하여 보라. 수고도 아니하고 길쌈도 아니하느니라" 고 한 [산상수훈]의 비유에서 예찬 받은 나리 꽃이 붉은 빛이 된 전설이 있다. 예수님은 죽음을 앞둔 밤에 겟세마네 동산을 거닐었다. 그 때 꽃들은 예수님을 동정하여 고개를 숙이고 피어 있었는데 나리만이 자기의 아름다움으로서 예수님을 위로할수 있다고 고개를 높이 쳐들고 있었다. 그때 구름 사이로 달빛이 훤히 비추자 나리는 다른 꽃들이 고개숙여 시름에 잠겨있는 것을 보았다. 이 후 나리는 자기의 교만이 부끄러워 얼굴을 붉히고 고개를 숙였기 때문에 붉은 꽃이 생기고 옆을 보고 피었다는 전설이다.
 

  아무튼 우리 동 출입구에서부터 백합의 달큰한 향기가 솔솔 풍겨오는 건 기분좋은 일이다. 

 구근꽃들은 꽃이 피면 줄기를 잘라줘야 한다던데..  그래야 꽃에 뺏길 영양을 알뿌리에 비축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게 알뿌리를 튼실하게 해놓아야 다음해에 다시 꽃을 볼 수 있다나..

 그런데 줄기 자르기가 참 꺼려진다.  꽃에게 미안하단 생각도 들고..

 사람들은 예쁜 것들에 약하다는, 인정하고 싶지 않은 진실을 깨닫는다.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에 현혹되지 않고, 기본이 되는 뿌리를 배려하고 생각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도...

 과감하게 잘라내야 한다. 과감하게..

 

아름다운 것도 지고 나면 이렇게 되는 걸..

아름다움의 근원은 바로 뿌리에 있는 걸..

흙과 뿌리를 병들지 않게, 벌레 먹지 않게, 튼실하게, 기름지게 가꾸어놓아야 아름다움도 지속되는 걸..

내년에도, 또 후년에도..

또 한가지 상식, 프랑스의 국화가 바로 백합이란다.  그래서 "The Lilies"라는 말은 프랑스 국민을 가리키는 표현이라고 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7-07-15 2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보는 성경에는 들의 백합화- 라고 적혀있는데
들의 나리꽃- 하니까 훠얼씬 운치가 있잖아요 ^^
떨어진 꽃은 마음아프지만... 그래도 이쁜 나리꽃!

섬사이 2007-07-16 02:02   좋아요 0 | URL
저도 나리꽃이란 이름이 더 정겹고 예쁜 것 같아요. 나리꽃을 그다지 좋아하는 편이 아니었는데, 화단에 심어놓고 보니 그 화려한 존재감 하나는 인정해줄만 하더라구요.

프레이야 2007-07-15 2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흰나리꽃, 참 정겨운 이름이에요. 백합보다 훨씬..
뿌리가 튼실히 있다면 저렇게 지는 건 아무것도 아닐 거에요.
잠시 물러날 뿐..

섬사이 2007-07-16 02:03   좋아요 0 | URL
맞아요, 혜경님. 중요한 건 흙과 뿌리예요. 그래야 아름다운 꽃을 다시 피울 수 있으니까요.

알맹이 2007-07-15 2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식물 기르는 것, 꽃이 피게 하는 것, 여간 손길이 많이 가지 않을 것 같은데.. 님의 마당은 점점 풍성해지네요. 모처럼 꽃보니 기분이 좋아집니다~

섬사이 2007-07-16 02:06   좋아요 0 | URL
앤디뽕님, 화분에 키우는 것보다 훨씬 손이 덜 가는 것 같아요. 화분은 물주는 것, 겨울나기, 분갈이 등등 신경써줘야 할 것들이 많은데, 화단 흙에 심어놓으면 하늘에서 알아서 물주고, 겨울나는 것도 화분보다 더 수월하고, 분갈이 대신 봄가을에 한번씩 웃거름을 주면 되니까요. 제가 들인 노력보다 훨씬 더 큰 결과를 보고 있어요. 즐겁고 기쁜 일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