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행성
나는 지금껏 야행성으로 살아왔다. 저녁밥을 먹고 설거지를 마치는 그 순간부터가 온전히 내 시간이었다. T.V.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음악을 듣곤 했다. 남편이 옆에 있지만 이 시간만큼은 혼자인 것이 좋았다,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나만의 시간을 갖고 싶었다. 남편은 밖에서는 너무 말을 하지 않아서 문제가 많은 사람이다. 그런데 집에만 오면 나보다 훨씬 더 말을 많이 한다. 이런 용어가 있는지 모르지만 우리 부부는 그것을 ‘총량불변의 법칙’이라 말한다. 오늘 하루 말을 해야 하는 분량이 있는데 밖에서 다 하지 못했으니 집에서라도 그 나머지 부분을 해야 하는 것이라고 이해를 하며 살아왔다.
남편은 아홉 시면 이미 잠자리에 들어야 한다. 몇 년 전까지 ‘밤이면 자야지’와 ‘정신이 제일 맑은 시간을 잠으로 때워?’하며 전쟁을 불사했다. 세월 앞에 장사가 없다고 이제 둘 다 제풀에 지쳐서 자는 시간으로 싸우지는 않는다. 서로 편한 시간에 자는 것으로 암묵적인 동의를 한 셈이다.
그런 내가 얼마 전부터 저녁설거지를 마치자마자 잠자리에 들곤 했다. 남편이 보는 T.V. 소리가 시끄러워 서재방에서 잠을 잤다. 꿈도 없는 잠을 잤다. 며칠 째 그러고 있으니 오늘 새벽에는 새벽기도를 가면서 남편이 서재방문을 열고 말했다. “ㅇㅇㅇ(내 이름), 일찍 자는 건 당신답지 않아. 제발 열두 시까지 영화보고 책 읽어.” 잠결에 대답했다. “다 귀찮아, 메뚜기도 한철인 걸. 그냥 버려두지 왜 옛날엔 일찍 안잔다고 그렇게 구박했어?”
# 보통씨 동물원에 가셨군요?
아홉 시 좀 넘어 전화벨 소리에 잠을 깼다. 별로 친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무례하게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분에게서 온 전화였다. 예의를 갖춰 삽십 분쯤 대화를 했다, 나는 주로 듣는 쪽이었다.
전화를 끊고 나니 잠이 달아나 버렸다. 읽고 있던 알랭 드 보통의 <동물원에 가기>를 마저 읽었다. ‘피하기 위한 거짓말과 사랑받기 위한 거짓말’에 대해 잠시 생각을 했다. 그러나 더 마음에 와닿는 글들은 이것이었다.
이런 감정적인 반응을 보면 작업장에 두 가지 요구가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는 사업의 일차적 목적은 이윤의 실현이라고 규정하는 경제적 요구다. 또 하나는 경제적 안정, 존중, 종신직, 나아가 형편이 좋을 때는 재미까지도 갈망하는 피고용자의 인간적 요구이다. 이 두 가지 요구가 오랜 기간 이렇다 할 마찰 없이 공존할 수도 있지만 이둘 사이에서 진지하게 어느 한쪽을 택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상업적 체제의 논리에 따라 언제나 경제적 요구가 선택된다.
임금에 의존하는 모든 노동자는 이 사실을 잘 알기 때문에 그들의 삶에서는 불안이 살아질 수가 없다. 노동과 자본 사이의 투쟁은 적어도 선진국에서는 이제 마르크스의 시절처럼 맹렬하지 않다. 그러나 노동 조건의 향상과 고용 관련법에도 불구하고, 생산 과정에서는 노동자들의 행복이나 경제적 복지가 여전히 부차적인 자리를 차지할 수밖에 없으며, 노동자들은 기본적으로 도구 노릇에 머물게 된다. 고용자와 피고용자 사이의 어떤 동지애가 이룩된다 해도, 노동자가 아무리 선의를 보여주고 아무리 오랜 세월 일에 헌신한다 해도, 노동자들은 자신의 지위가 평생 보장되지 않는다는 것, 그 지위가 자신의 성과에 자신이 속한 조직의 경제적 성공에 의존한다는 것, 자신은 이윤을 얻기 위한 수단일 뿐이지 감정적인 수준에서 늘 갈망하는 바와는 달리 결코 그 자체로 목적일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결국 노동자는 늘 불안하게 살아갈 수밖에 없다. p.81
재벌이 동네 빵집까지 마구잡이로 먹어치운다는 – 지금은 여론에 의해 잠시 꼬리를 내렸지만 – 기사를 읽고나서인지 마음이 편지 않다. 지난 여름 휴가갔을 때, 저녁 무렵 진안 시가지를 기웃거리고 있었다. 내일 아침에 먹을 빵을 사기위해서였다. 그 작은 시골 동네에도 유명베이커리가 세 군데나 있었다. 애써 다른 빵집을 찾아갔지만 완전 육십년대식이었다. 조만간 문을 닫게 되리라는 것은 불을 보듯 뻔했다.
나는 지금 아이들이 대학을 졸업하여 직장을 잡거나 결혼을 하는 그런 나이에 와 있다. 그런데 주위의 친구들 중에 아이들이 취업을 한 아이는 별로 없다. 유학을 가거나 대학원에 다니거나 취업 재수, 삼수를 하고 있다. 요즘 말하는 스팩도 괜찮은 아이들이다.
내가 잠에 취하고 싶은 것은 어쩌면 이런 현실에 눈을 감고 살고싶다는 소극적인 저항이 아닐는지.
# 오늘이 2월 14일이지?
재작년부터 안하던 짓을 하고 있다. 남편과 아들에게 초콜릿을 선물했다. 젊어서는 안하던 일을 나이가 들어서 하고 있다. 나이가 들어가니 정말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이 없는 듯했다. 작은 제스추어라도 하지 않으면 남아있는 나날이 너무 무미건조할 것 같았다.
이웃에서 해외여행을 간다고 해서 선물하려고 작은 여행 소품들을 인터넷으로 몇 가지 샀더니 초콜렛이 따라왔다. 뒀다가 오늘 아침 식탁 남편의 자리에 올려두고 말했다.
“그대를 사랑합니다. 그대를 사랑합니다~~~” 그러나 별로 확신이 없어서 좀 슬펐다. 이런 아내의 마음도 모르고 남편은 입이 귀에 걸렸다. 나는 보통씨가 말하는 ‘사랑받기 위한 거짓말’을 한 걸까? 그러나 솔직하게 말하면 사랑받는 것도 귀찮다.
# 창 밖에는 비오고요...
이런 페이퍼를 쓰게 된 것 순전히 날씨탓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