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 - 전10권 세트
최명희 지음 / 한길사 / 1990년 11월
평점 :
절판


혼 불

                                                                           최명희


 [ 10 ]

거기서는 사람들이 2


 강태와 강모는 만주에서 심진학 선생을 만나 만주에 오는 이민들의 극심한 고통을 생생하게 듣는다.


 심진학 선생은 전라도의 역사적 뿌리를 설명하고 일본의 정책에 의해 사라져 가는 조선인의 문화를 걱정하며 이어가야할 민족정신 등의 중요성에 대하 역살한다.


 천신만고 끝에 가족을 이끌고 봉천에 도착한 부서방은 그곳에서 생각지도 못한 강모를 만나고는 마치 매안에서 청암부인을 만난 듯 기뻐하고 안도하지만 동상과 질병으로 아이까지 잃고 실의에 빠진다.


 강모는 그때서야 비로소 부서방으로부터 청암부인의 소식을 듣고 비통해 한다.

옹구네 집에 갇히다시피 한 강실에게 옹구네를 시기 질투하는 공배네가 도움을 주려하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강실의 행방을 수소문하기 위해 떠났던 기응은 넋이 빠진 채 돌아와 대성통곡을 하는데......


 편수가 거듭되고 대단원으로 향하면서 우려했던 사건 진행의 결말이 사실화되었.


 이야기의 주된 줄거리보다 여백에 더 많은 지면을 할애한 것이 못내 아쉬움으로 남지만, 작가의 수려한 문체와 우리 고유의 정취를 흠뻑 담고 있는 예스런 서술의 서정성은 충분히 감탄할 만했다.


 해피엔딩이나, 그보다는 못하더라도 그래도 무난한 결말을 예상했던 독자의 기대를 송두리째 배신(?)한 작가를 원망하며 내가 이야기를 마무리한다면,


 언감생심 강실을 겁간한 춘복이 놈과 온갖 못된 장난을 서슴치 않는 옹구네는 잡아서 덕석말이를 시키고, 천하의 패륜아 강모 놈은 징병으로 끌고 가 저기 어디 남방의 정글 속 전투에 투입하고 싶었다.


 그런데 당하기만 한 불쌍한 강실이는 어떻게 하냐고? 내 생각 같아서는 가문을 위하여 스스로 자진을 택하라고 권하고 싶지만 내용에 그런 암시를 주기도 하지만 그 결정은 다른 독자들이 해 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불 - 전10권 세트
최명희 지음 / 한길사 / 1990년 11월
평점 :
절판


[혼불] 10. 강모는 별로 할일도 없이 만주에서 빈둥거리는 것 같고, 공배네는 옹구네 집에 갇히다시피 한 강실에게 도움을 주려하지만 번번이 실패한다. 강실의 행방을 수소문하기 위해 떠났던 기응은 넋이 빠진 채 돌아와 대성통곡을 하는데 효원은 강실이 호랑이에게 물려 갔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레이] 맨 온 파이어
토니 스콧 감독, 덴젤 워싱턴, 다코타 패닝 출연 / 20세기폭스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맨 온 파이어

(Man On Fire)



 감독 : 토니 스콧

 출연 : 덴젤 워싱턴. 다코타 패닝. 크리스토퍼 월켄. 지안카를로 지아니.

         다 미첼. 마크 앤소니. 이첼 티코틴. 미키 루크 등


 2004년에 제작된 영화로 A.J. 퀸넬 원작의 소설 크리시 시리즈 1편을 영화화

한 작품이다.


 (중남미에서는 한 시간마다 유괴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그들 중 70%는 살아서

돌아오지 못한다.)


 백주 대낮에도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납치가 이루어지고 납치범들은 서슴없이

돈을 요구하고 범행은 계속된다.


 전직 미군 특수부대 요원이었던 크리시가 여기저기 떠돌다 멕시코로 와서 선배였던 레이번을 만난다.


 마침, 사업의 불황으로 자금난을 겪으면서 사랑하는 딸 피타의 경호원을 해고시켰던 자동차 부품공장 사장인 사뮤엘이 변호사 조단의 권유를 받고 경호원을 알아보다가 알콜 중독자인 크리시를 경호원으로 채용한다.


 세상과는 단단히 벽을 쌓고 오로지 자신의 임무에만 충실하겠다며 피타의 천진난만한 마음까지 거부했던 크리시는 점점 피타의 순수함에 동화되어 굳게 닫혔던 마음의 문을 열고 친해져 간다.


 그러던 어느 날, 피아노를 배우러 간 피타를 기다리던 크리시는 차를 탄 수상한 사내들이 몰려오는 장면을 목격하고 몸을 던져 그녀를 지키려 사력을 다하지만 무수한 총격을 받고 쓰러진다.


 치명적인 부상에서 가까스로 의식을 회복한 크리시는 피타가 유괴되어 결국은 살해당하고 말았다는 얘기를 듣는데......


 가장 반인륜적이고 흉악한 범죄인 유괴. 그 비열함을 처단하기 위해 목숨을 내

건 한 사나이의 잔인하지만 시원한 복수극이 펼쳐진다.


 나쁜 시키들을 때려잡는 활약은 너무 통쾌한데, 조직을 완전히 박살내고 악당들을 박멸하지 못한 아쉬움과 함께 엔딩은 너무 가슴이 아팠다.


 이런 비슷한 스토리 구성의 영화를 어디선가 본 듯한데 우리나라 영화 아저씨외에는 잘 기억이 나지 않았다.


 덴젤 워싱턴의 중후하고 냉혹한 연기가 인상적이었으며, 어린 다코타 패닝은 너무 귀엽게 나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22-08-10 2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인천 배다리 놀러간 적 있는데 그 곳 상점 주인분 중에 엘살바도로에서 15년 살다 오신 분 있었는데.. 그 분이 남미 사실 때 15년동안 거의 바꼍 출입을 하지 않었다고 하시더라고요. 거리 나가 재수 없으면 총 맞을 수 있어서.. 그 말 듣는데 15년을 앨살바도르라는 감옥에 있으셨던 거구나 싶더군요.

하길태 2022-08-11 06:30   좋아요 0 | URL
엊그제 신문에 남미 마약왕 여자 붙잡힌 것 나오던데 그곳은 아직도 그런지 모르겠네요?^^
 
[블루레이] 맨 온 파이어
토니 스콧 감독, 덴젤 워싱턴, 다코타 패닝 출연 / 20세기폭스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맨 온 파이어] A.J. 퀸넬 원작의 소설 크리시 시리즈 1편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부패경찰과 결탁한 범죄조직의 유괴 사건이 판치는 멕시코. 납치되는 피타를 경호하다 피격된 크리시가 잔인하지만 시원한 복수극을 펼친다. 가장 반인륜적이고 흉악한 범죄자들을 처단하는 크리시를 응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치콕 콜렉션 : 새
유니버설픽쳐스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Alfred Hitchcock's The Birds, The Birds)



 감독 : 알프레드 히치콕

 출연 : 로드 테일러. 제시카 탠디. 수잔 프레셔티. 티피 헤드런 등


 1963년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로 대프니 듀 모리에의 동명의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하늘 가득 갈매기들이 끼룩거리며 날고있는 가운데 멜라니 대니얼즈는 주문한

앵무새를 사러 애완동물 가게에 들른다.

 그리고 우연히, 동생의 생일선물로 잉꼬새를 사러온 변호사 미치 브레너를,

어설픈 주인 행세를 하며 만나게 된다.


 장난끼가 발동한 멜라니는 차량번호를 보고 미치의 주소를 알아낸 다음 잉꼬새가 든 새장을 들고 그를 찾아간다.


 수소문 끝에 그의 여동생이 있는 집에 몰래 새장을 두고 보트로 바다를 건너던 멜라니는 갈매기의 공격을 받아 머리에 상처를 입고 그의 치료를 받으며 저녁식사 초대를 받는다.


 그리고 다음 날, 미치의 여동생 생일파티에 참석했던 아이들이 갈매기떼의 공격을 받았고 그날 저녁에는 한 무리의 참새떼들이 굴뚝을 통해 집안에 침입하여 미치 가족들을 공격하고 집안을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는다.


 그런 이상한 일들이 연속적으로 발생한 다음 날, 브레너 부인이 근처에 사는 농부 포세트의 집을 방문했다가 그가 새에게 눈이 파 먹힌 채 죽어 있는 것을 발견

하게 되는데......


 이유도 모르는 채 시작된 새의 공격이 여러 파생된 재난을 불러일으키고 사람들이 죽어 나간다.


 고전이 된, 히치콕의 공포영화로 유명한 작품인데, 감독은 아마도, 아무도 상상할 수 없는, 절대로 인간을 공격할 것 같지 않은, 새들이 인간을 공격한다는 것을 주된 공포의 테마로 설정하고, 그 원인을 알 수 없다는 것을 공포심을 배가 시키는 효과로 사용하여 영화를 만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의 특징 중 하나는 영화에는 새소리 음향을 제외하고는 전혀 음악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며, 등장하는 실제 새와 기계 새 이외의 수천 마리의 새떼는 광학효과로 만들었다는데 1963년에 그런 화면을 만들었다는 것 자체가 감독의 천재성을 입증하는 것 같이 느껴졌다.


 원작은 1952년 초판이 출간될 당시에는 제목이 사과나무였지만, 이후 영화로 만들어지면서 라는 제목으로 다시 출간되었다고 한다. 드문 경우인 듯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08-08 16: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헉 저 어릴때 이 영화 진짜 무섭게 봤어요. 그 후로 비둘기만 봐도 움찔움찔했던 ㅎㅎ

하길태 2022-08-08 21:16   좋아요 1 | URL
ㅎㅎ 진짜로 새가 사람을 공격한다면 얼마나 무섭겠습니까?
그것도 집안까지 날아들어 와서 공격한다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