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학의 역사 - 이해하고 비판하고 변화하다
니알 키시타이니 지음, 도지영 옮김 / 소소의책 / 2025년 2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경제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그러나 지나치게 원론에만 치중해 전공서적 같은 느낌으로 독자들을 질리게 하지 않는 책이 바로 『경제학의 역사』이다. 책은 하드커버로 제작되었고 그동안 소소의책에서 출간되었던 일종의 '00'의 역사 시리즈를 떠올리게 한다.
전문 분야라는 생각에 경제학에 대한 부담감을 갖고 경제학의 원리나 개념 등에 접근하기 힘들었을 독자들도 충분히 읽어 봄직한 책이라는 점이 고무적이다.
특히나 현대를 살아가면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분야가 어느덧 경제 관련 분야가 되어버린 만큼 그 기초이자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경제학의 역사를 한 권의 책으로 만나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추천할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흔히 우리가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아도 여기저기서 들어 봤음직한 경제학의 핵심 개념과 기본 원리들을 이 책은 소개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보이지 않는 손, 죄수의 딜레마 등과 같은 부분이다.
책은 경제 문제의 시작에서부터 이야기하는데 여기에서 등장하는 것이 바로 희소성의 원리이다. 인류가 공동체 생활을 할 당시만 해도 사유재산의 개념이 없었지만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부분이 등장하게 되는 이야기는 세계사나 한국사를 보아도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책에서 언급하는 첫 번째 경제 사상가로서는 그리스 철학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농경 사회의 경제가 그리스나 로마 시대가 되면서 복합 경제로 나아가는 이야기부터 시작해 다른 나라와의 교역, 지역 경제와 국가 경제 등의 보다 큰 거시적 관점에서의 경제에 대한 이야기로 진행된다.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경제 원칙 또한 복잡성을 띄게 되는데 이는 자유무역 시대를 넘어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역사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여러 분야에서 하나의 사상이나 이론이 등장하면 만능이 아니며 이에 대한 보완이나 비판적 견지를 보이는게 자연스러운 수순인데 책에서는 역시나 하나의 경제 원칙이 등장하면 그로 인해 발생화는 사회/경제 문제를 비판하고 해결책으로서 제시되었던 새로운 경제학 원리의 등장을 보여줌으로써 경제학의 거대한 흐름을 한 권으로 파악하기에도 좋은 책이다.
가장 최근의 경제학 이론을 보면 주식회사의 등장으로 주식시장에서 투자자의 활동을 볼 수 있으며 경제가 환경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로 탄소배출과 관련한 문제 역시 언급됨으로써 원시 시대 경제활동을 시작으로 자유무역과 교역이 이뤄지는 가운데에서도 탄소배출 제한 등과 같은 범지구적 대응에서는 각 개별 나라가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주는 과정이 굉장히 자연스럽게 내용이 전개되기 때문에 단순히 경제학의 역사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의 변화와도 무관하지 않아 유익한 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