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의 개혁가, 마르틴 루터 - 500년 전 루터는 무엇을 이루고 무엇을 남겼는가
박흥식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터라고 하면 종교개혁과 직결해서 떠올리는 인물이며 면죄부 판매 반했던 인물처럼 상당히 짧게 알고 있을 뿐 사실 자세한 내용을 배우기 보다는 학창시절 이런 중심 내용만 읽고 지나가서인지 『미완의 개혁가, 마르틴 루터』같은 책을 통해서 만나게 된 마르틴 루터에 대한 이야기는 신선하다.

 

종교에 대한 어떤 견해를 가진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해서 특정 종교를 가진 사람도 아니기에 세계사를 통해서 배운 정도의 지식이 전부인 상황에서 올해가 마르틴 루터가 종교개혁을 한지 딱 500년의 역사가 흐른 해라는 사실도 알지 못했다.

 

책으로 돌아와서, 그렇다면 이 책의 저자인 서울대 서양사학과의 박흥식 교수는 왜 마르틴 루터를 미완의 개혁가라고 부르고 있는 것일까?

 

한편으로는 지금까지 인류의 역사 속에서 있어왔던 개혁이라고 불리는 것들 중에 완성으로 끝이난 것이 있을까하는 대목도 생각해보게 되는데 완전히 매듭지어진 경우도 흔치 않거니와 개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숱한 문제들, 시간이 흐르면서 달라지는 상황들이 때로는 용두사미가 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는 보다 팩트에 치중하기 위해서 먼저 종교개혁 그 당시로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과연 어떤 배경에서 종교개혁이 시작되었는가, 무엇이 마르틴 루터로 하여금 유럽사에 변혁을 가져왔고 이후 전세계의 종교계를 변하게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투쟁을 하게 만들었는지가 자세히 소개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자 많은 사람들이 피상적으로나마 배웠던 면벌부에 대해 루터가 비판을 하게 되고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 보여준 교황청의 반응이 소개된다.

 

어떤 사회든 부패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 한 가지로서 기득권 세력의 지나친 욕심도 무시할 수 없을텐데 이런 상황일 때 대중은 그 권력에 편승해 있는 소수가 아닌 나머지 다수 대중의 경우에는 자연스레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상을 꿈꾸며 개혁사상에 눈길을 돌리게 되는데 책에서도 루터의 종교계에 대한 개혁 사상과 투쟁, 그 과정에서 겪게 되었던 위기 등을 자세히 알려주고 다소나마 변화는 있었으나 개혁세력이 끝까지 답합된 모습을 보이지 못하는 가운데 결국 루터의 투쟁이 미완으로 막을 내리고 마는 상황으로 이야기는 이어진다.

 

마르틴 루터라는 한 종교 개혁가의 이야기로만 치부하기엔 상당히 다양한 방면에서 이야기가 펼쳐지고 다각도로 문제를 살펴보는 가운데 여전히 화두로 남아있는 문제라든가 부족했던 부분에 대한 언급까지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폭넓은 시각에서 내용을 담고자 한 저자의 노력이 엿보이는 책이라고 생각하기에 비록 그 시작은 마르틴 루터에서 했으나 지금 우리의 삶에 깊숙이 자리한 종교라는 분야에 다가갈수 있어서 좋았던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