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 - 질병과 맞서 싸워온 인류의 열망과 과학
정진호 지음 / 푸른숲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몸이 아프면 병원엘 가고 의사의 처방전을 받아 약국에서 제조해주는 약을 받아 그 병을 치료하기 위해 노력한다. 해가 다르게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이는 비단 의료기술에 있어서도 다르지 않아 과거라면 마땅한 치료법도 없어 죽었을 병조차도 이제는 조기 발견만 하면 생명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발전했다.

 

이는 인류의 평균 수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고 최근에는 '100세'라는 말도 불가능해 보이지 않을 정도이다.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 필연적으로 성장의 또다른 이름인 노화를 겪는다. 궁극적으로는 늙지도 아프지도 않은, 마치 신의 영역이나 마찬가지인 도전을 오늘도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가운데 여전히 의사의 처방과 약사의 제조에 의한 약이 아니라 소위 민간요법이라는 과학적으로 근거가 부족한 약을 사용라는 경우도 있고 역시나 과학적으로 아직 검증되지 않았음에도 어디어디에 좋다는 약을 복용하는 것은 왜일까?

 

 

세계적인 독성학자이자 이 분야의 최고 전문가라해도 과언이 아닐『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의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실제로 사람들이 동남아 여행에서 몸에 좋다는 제품을 거금을 주고 구매하는 것을 목격한다. 저자가 아무리 이 분야의 전문가로서, 그 약은 사지 말라고 해도 사람들은 저자의 말을 믿기보단 약을 판매하는 사람의 말을 믿어버리는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안아키(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 사태가 충격을 주었다. 아이를 낳고 키우다보면 필수 예방접종이라고 해서 개월 수나 연령대별로 꼭 접종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부작용이 더 크게 부각되면서 이를 기피하는 것에서 나아가 아예 검증되지 않은 자신들만의 방법을 공유하며 가히 아동학대가 아닐까 싶을 정도의 문제가 생기기도 했었다.

 

사실 부모의 입장에서 이런 경우를 보면 각자가 키우는 방식이야 저마다겠지만 당장 단체 생활에서 예방접종을 한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가 한 반에 있어서 예방접종을 하지 않아 다른 아이들에게 전염시킨다면 실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학자적 양심을 걸고 총 4부에 걸친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가장 먼저 1부에서는 약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을 살펴본다. 여기에서는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들어보았을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이야기도 등장하는데 과연 이것이 단순히 미신과도 같은 이야기인지 아니면 과학적 근거가 있는지 등을 알려주며 2부에서는 저자의 전문 분야이기도 한 약이 가진 독성에 대해 이야기 한다.

 

모든 약이 100% 아무 문제가 없을 수는 없다. 효과적인 측면과 부작용의 측면이라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3부에서는 인류의 생명연장을 실현케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위대한 약의 탄생에 대해 다룬다. 외과 수술을 가능케 한 마취제를 비롯해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해준 백신, 아주 간단하지만 의외로 받아들이기까지 시간이 걸렸고 그 사이에 많은 여성들이 출산과정에서 죽기까지 했던 소독제, 이외에도 항셍제와 아스피린, 가장 최근으로 인간의 성에 대한 욕구를 보여주는 비아그라까지 담아낸다.

 

끝으로 4부에서는 인간의 궁극적인 욕망이기도 한 무병장수에 대한 이야기로서 과연 말처럼 만병통치약이라는 것이 가능한지, 과연 인류는 얼마나 오랫동안 살 수 있을지, 의료과학기술의 발달은 어디까지 이어질지 등을 알아봄으로써 약의 미래에 대해서도 이야기 한다.

 

결코 간단한 이야기는 아니나 분명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내용의 책이라는 생각이 들고 실제로 책에 수록되어 있는 이야기 또한 비전문가가 읽기에도 충분히 재미있게 쓰여져 있다는 점에서 더욱 좋은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