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죽었다고 말하는 남자 - 자아의 8가지 그림자
아닐 아난타스와미 지음, 변지영 옮김 / 더퀘스트 / 201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정확하게 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어느 하나의 성질이 죽을 때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드물고 심지어는 평생토록 자신이 누군인가에 대한 물음에 답하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바로 이 '나'라는 가장 쉬워 보이는 대상이지만 동시에 가장 어려운 존재에 대해서 뇌과학을 통해서 풀어낸다는 점이 흥미로울수 밖에 없을 것 같다.

 

사실 뇌의 비밀은 아직까지도 전부 해결되지 않은 미지의 세계나 다름없을텐데 이 책에서는 이 뇌과학을 아주 독특한 증세 8가지를(즉, 어쩌면 8가지 종류의 특별한 자아) 실제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다.

 

가끔 영화를 보면 너무나 생소한 증세를 지닌 환자들의 이야기가 소개되고 또 때로는 국내의 모 연예인들이 보여지는 이미지와는 달리 의외의 증세로 힘들어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하는데 이 책에서는 그런 실제 사례 속의 존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앞서 이야기 한대로 진정한 '자아','나'라는 존재를 잃어버린 채 살아가고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다.

 

사실 당사자에게는 너무나 힘든 상황일테니 단지 흥미롭다고만 표현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긴 하지만 코타르증후군, 자폐스펙트럼장애, 조현병, 이인증, 알츠하이머, 황홀경 발작, 유체이탈 등에 이르기까지 생소한 증세가 대부분이지만 그중에는 대중에게도 익숙하게 여겨지는 증세도 있는 만큼 실제 증세를 겪고 있는 환자들과의 심도있는 인터뷰를 통해서 쓰여진 이 책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을것 같다.

 

이 책의 저자인 아닐 아난타스와미는 《뉴사이언티스트New Scientist》의 전 부편집장이자 현 고문으로서 이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잘 아는  《내셔널지오그래픽뉴스National Geographic News》, 《디스커버Discover》, 《매터Matter》 등에 기고를 하고 있는 과학 저널리스트로 과연 나와 나의 존재 사이의 관계를 생각해보게 만드는데 비록 우리가 자신의 신체를 지니고 있다고는 해도 만약 자아가 명확하지 못하다면 과연 나는 존재하는 것인가하는 문제도 생각하게 만들어서 생소한 증세의 용어만큼이나 내용이 쉽지는 않겠지만 전문성과 함께 가독성은 충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