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실점
김희재 지음 / CABINET(캐비넷)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실점』은 대단한 히트작들인 <실미도>, <공공의 적2>의 김희재 작가가 선보이는 작품으로 상당히 파격적인 이야기임에는 틀림없다. 오히려 자극적인 소재에 미스터리와 반전, 반전의 끝에 자리한 로맨스가 복합적으로 쓰여진 작품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이야기는 도입부부터 다소 충격적인데 한 여인의 끔찍한 죽음과 그 죽음의 바라보고 있는 남자의 상식 밖의 행동은 이 둘의 관계에 의구심을 품게 하는 동시에 이야기 전반에 흐르는 긴장감을 유지시켜주는 진실 추구를 위한 설정이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소위 배경 좋은 집안에서 태어난 대통령과 국내 최고 연예인 다음으로 유명하다고 알려진 최고의 아나운서 최선우. 대학시절부터 연예인 못지 않은 인기를 누렸고 졸업 전 국내 굴지의 재벌 자제이자 차기 외교부장관으로 거론되는 박무현과의 결혼은 오히려 그녀를 더욱 화제의 중심에 올려 놓는다.

 

여기에 스스로의 능력도 뛰어나 아나운서로서도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해도 과언이 아닌 최선우가 어느 날 실종된다. 그런 선우가 시골 미술교사이자 유명 화가의 작업실겸 자택에서 나체에 스카프 한 장만 두른 채 기괴한 자세로 죽은 채 발견되자 이 일은 대한민국을 뒤흔들게 된다.

 

평소 명석하고 반듯하고 정숙한 이미지의 대명사였기에 그녀의 죽음을 둘러싸고 대중은 분노를 하게 되는데 특히나 유력한 용의자이자 선우가 변사체로 발견된 장소의 주인인 서인하가 오히려 충격적인 주장을 하면서 모든 이들의 이목이 집중된다.

 

결국 선우의 배경은 검찰에 신속한 사건 해결을 암암리에 종용하고 검찰에서는 강력부의 강주희 검사에게 사건을 배당한다. 선우의 죽음 이후 낚시터에서 발견된 인하의 모습은 결코 살인자의 모습이 아니였지만 검찰에서 마주한 그는 평소 선우를 보아온 사람이라면 결코 믿을 수 없게도 두 사람이 남들의 눈을 피해 만나며 가학적인 성관계를 즐겼다고 주장한다.

 

죽은자는 말이 없고 남겨진 인하는 충격적인 고백을 하면서 주희를 혼란에 빠뜨린다. 결국 인하가 선우를 죽였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 인하와 치열한 두뇌 게임을 하듯 진실을 밝혀내려하던 주희는 아주 우연히 인하의 입에서 나온 말에 주목하게 된다.

 

그리고 그가 사실은 동기인 남검사가 수사중인 연쇄방화범일지도 모른다는 의구심을 갖게 되고 주희와 남검사는 공조수사를 하면서 흩어져 있던 퍼즐 조각들이 하나 둘 제자리를 찾아가는 듯하다. 

 

마치 자신의 가지고 노는 듯한 인하의 번들거리는 주장에 맞서 주희는 그와의 대화를 통해서, 또 아주 우연한 기회에 섬광처럼 찾아 온 깨달음으로 드디어 인하의 죄를 밝혀낸다. 그리고 대중과 무현, 남검사와 스스로도 안심할 수 있는 판결을 얻어냈다고 생각하는데....

 

혼자 살아가지 않는 이 세상에서 우리는 스스로가 가지고 태어난 본능 역시도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사회적인 학습과 집에서의 교육에 따라 점차 옳고 그름을 판단하게 되고 자신의 내부에 있는 모습 중에서도 사회와 사람들 사이에서 용인될 수 없는 보편적이지 않은 성향은 점차 줄여나가게 된다. 여기에 주변의 기대감이 작용하면 스스로 그 기대에 자신의 맞춰 소위 착한 아이, 성실하고 반듯한 어른으로서 자라나게 되는 것이다.

 

나의 진짜 모습과 세상이 기대하기에 맞춰 나가야 하는 모습의 괴리 속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아가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테지만 그렇다고 해서 선우나 인하의 행동이 모두 이해되는 것도 아니며 한편으로는 어느 정도 짐작이 가는 전개는 다소 아쉽게 느껴지는 부분이였던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