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긴 변명
니시카와 미와 지음, 김난주 옮김 / 무소의뿔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긴 변명』은 니시카와 미와의 작품으로 일본에서는 영화감독으로서도 인정받고 있는 재능있는 작가이기도 하단다. 작가와 영화감독일을 거의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고 봐도 좋을 작가는 직접 쓴 각본을 영화로 만들고 이를 다시 소설로 만들기도 하는데 그동안 선보인 작품들을 보면 국내에서도 유명한 오다리기 조 등의 출연한 <유레루>를 비롯해 <우리 의사 선생님>이 있고 이 작품들은 역시나 원작소설로도 발표되어 영화도 소설도 모두 각 분야에서 여러 상을 수상하고 후보에 오르는 등의 인정을 받게 된다.

 

그런 가운데 선보인 『아주 긴 변명』은 역시나 제153회 나오키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고 자신이 직접 감독을 맡아 동명의 영화로 제작해 토론토 국제영화제를 비롯해 부산국제영화제에서도 상영된 바 있다고 한다.

 

운명은 따로 있구나 싶은 생각이 들게 할정도의 커플인 사치오와 나쓰코는 대학 시절 동기였던 인물들로 이후 우연한 기회를 통해 다시 만나게 되고 결국엔 결혼에 이르게 된다. 결혼 이후 미용사였던 나쓰코의 헌신으로 사치오는 작가로서의 삶에 전념하게 되는데 결국 그녀의 노력이 헛되지 않았던듯 사치오는 작가로서 점차 명성을 떨치게 된다.

 

유명 작가가 되어 작품 활동은 물론 여러 방송에도 출연하면서 어쩌면 그의 유명세는 더해졌다고 볼 수 있을텐데 이제 성공을 거머쥔 그는 나쓰코가 모르는 가운데 출판사 편집자와 적절치 못한 관계도 맺고 있다.

 

이후 나쓰코가 사로로 죽게 되지만 사치오는 세간의 이목을 생각하며 여느 보통의 남편같지 않게 오열하지도 비통해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사치오의 이런 모습에 오히려 충격을 받게 되는 인물이 있었으나 그와 적절치 못한 관계를 맺고 있는 그녀는 사치오가 보여주는 모습을 통해서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고 사치오에게 있어서 자신은 어떤 존재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된다.

 

유명작가로서 자신을 오래도록 뒷바라지 해온 아내의 죽음은 세상 사람들의 눈에는 사치오를 비련의 주인공처럼 비치게 만들었고 이에 대해 사치오도 굳이 부정하지 않은 채 오히려 그들의 인정을 받아들이는 나날을 보내게 된다.

 

그러나 실상 그는 슬픔의 의미 느끼지 못하는, 어쩌면 그 감정을 제대로 깨닫지 못해 스스로도 나오지 않는 눈물에 슬픈 연기를 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던 어느 날 아내가 함께 떠난 여행에서 사고를 당해 역시나 운명을 달리한 아내의 친구였던 남편인 오미야 요이치의 가족과 만나게 된다.

 

자신과는 극명하게 다른 반응을 보이는 요이치. 그는 아내의 죽음에 오열하고 분노한다. 결국 사치오는 그를 대신해 요이치의 아이들을 돌보게 되고 그 과정에서 점차 아내인 나쓰코의 존재와 그녀의 죽음을 깨닫게 되는데...

 

너무나 당연하게 자신의 곁에 있는 존재의 소중함을 우리는 때론 잊고 살아간다. 어쩌면 사치오에게 있어서 나쓰코 역시도 그런 존재가 아니였을까? 아무 의미가 없는게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였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더욱 그 슬픔이 크게 와닿는 그런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