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잡스가 반한 피카소
이현민 지음 / 새빛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르네상스 시대부터 현대 미술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특히 창의와 상상이 주가 되는 미술의 힘을 말하고 있는데 스티브 잡스가 살아 생전 창의력의 원천으로 미술을 손꼽았고, 그중에서도 피카소에 매료되었다고 한다. 피카소를 창의력의 대표로 생각한 셈인데 21세기의 천재라 불리는 스티브 잡스가 인정한 창의력의 대가 피카소였으니 그 자세한 내막이 궁금해지지 않을수 없다.

 

아직까지도 스티브 잡스라고 하면 출판계에서는 먹히는 키워드인가 싶은 생각이 든다. 물론 스티브 잡스와 피카소가 천재성을 갖추었다는 데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겠지만 이 책의 내용이 광범위한듯 하면서도 또 제한적이라는 느낌이 드는걸 보면 흥미로운 키워드인 스티브 잡스와 피카소를 결합한 데에는 저자의 확실히 의도가 있는게 아닐까 싶다.

 

 

확실히 익숙한 화가들의 이름과 더 익숙한 그림, 작품들이 나오는데 사실이다. 하지만 어떻게 보면 예술 분야라는 것이 당연히 창의와 상상으로 이루어진 장르이기에 굳이 이렇게까지 말할 필요가 있나 싶기도 하다.

 

예술분야에서의 창의와 상상은 모방이 되지 않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였을 것이고, 이것은 단순히 천재성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어 보이고, 책속에 소개된 작품들에 대한 이야기를 읽어 보면 예술 시대를 열었다고 할 수 있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다양성으로 확대된 현대 미술의 다양한 장르에 이르기까지의 해당 작품 해설이 아닐까 싶어서 제목이 좀 지나치게 거창하다 싶은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즉, 각 시대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화가들의 작품과 그 화가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책인 것이다.

 

그렇다면 적어도 저자가 말하고 있는 스티브 잡스와 피카소의 관계에서 추론할 수 있는 미술이 문명과 역사를 만드는 지혜의 원천인 이유를 스티브 잡스의 생애에서 알아 볼 필요는 있을 것이다. 스티브 잡스가 대학 중퇴이후 접하게 되는 캘리그라피 미술 수업은 그가 매킨토시를 개발할 때 영향을 미쳤고, 바로 피카소의 화첩이 혁신적인 창조(Creation)를 위한 조합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데 스티브 잡스는 바로 이런 부분을 높이 샀던게 아닐까 싶다.

 

분명 피카소는 기존의 화가들과는 그림을 보여 주었고, 이것인 지금에 와서는 혁신적인 창조로 불리는데 저자는 바로 이런 부분을 말하고자 했던것 같다. 그렇다고 해서 이런 이야기가 모든 부분을 차지한다기 보다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현대 미술에 이르기까지의 미술사를 보여주는 책이라고 생각하고 읽으면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