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신부 진이
앨랜 브렌너트 지음, 이지혜 옮김 / 문학수첩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맨처음 이 책을 봤을때 왜인지는 몰라도 추리소설이 아닐까 생각을 했었다. 표지의 분위기가 그런 생각을 갖게 했었는데 내용을 보니 우리나라의 역사 속에 존재했던 내용을 모티브로 한 작품이여서 오해에서 시작된 선택이지만 후회되진 않는다.

 

과거 여자들은 제대로된 이름도 갖질 못했고, 교육은 꿈도 꿀 수 없었다. 조선 말기를 배경으로  지금 생각하면 상상도 되지 않지만 마땅한 이름도 없이 그냥 불리기에 필요한 명칭이 있을 뿐이였던 한 여인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다.

 

'워싱턴 포스트 「2009 올해 최고의 소설」 선정', 'ELLE 매거진 그랑프리 최우수상'을 수상한 사진신부 진이는 19세기 말인 조선 말기 경상도의 보조개골이라는 곳에서 '섭섭이'라는 이름을 가진 한 여인이였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 당시가 그랬던 집에서 대우받는건 남자 아이였을 것이다. 섭섭이는 그런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던 그녀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묘사인 셈이다.

 

부모가 원한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막지어진 호칭으로 살아야 했던 그녀의 삶을 생각해 보면 이름은 약과가 아닐까 싶어진다. 자유의지와는 상관없이 배움도 외출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그녀지만 '섭섭이'에게 몰래 글을 가르쳐준 스승님은 그녀에게 '보배롭다'는 의미의 '진(珍)이'라는 이름을 준다.

 

마치 사람의 운명이 이름처럼 흘러가듯, 진이라는 이름을 얻은 그녀는 자신의 삶을 개척하고자 사진신부[사진신부란 당시 하와이에 이미 이주해 있는 남성 노동자들과 우편으로 사진을 교환하여 혼인하는 제도였다. 기존 하와이 이민자들이 대다수 미혼 남성이었던 데다가,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혼인 외에는 미국 입국 방법이 없어지자 하와이 노동자들의 성비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고육지책으로 마련된 것이다.]가 되기로 결심한다.

 

배우고 싶어도 여자라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현실을 벗어나고자 했던 하와이 행은 그녀를 더 큰 시련으로 몰아 넣는다. 중매쟁이는 진이에게 하와이에 가면 여자인 자신도 학교에 가서 마음껏 배울 수 있고, 외출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말했지만 실제로 간 하와이에 있는 남편은 사진과는 다른 모습이고, 그녀는 오히려 고된 노동을 해야 하는 동시에 남편의 폭력에 놓이게 된다.

 

다시 한번 더나은 현실을 위해 호놀룰루로 도망을 치게 되고, 사창가의 여인들의 옷을 수선해 주며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다. 그리고 재선이라는 한국인과 사랑에 빠지고, 전남편이 나타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떨던 진이는 이혼 소송을 신청하기에 이른다. 결국 그녀는 자신이 진정 원하는 삶을 일궈낸다.

 

과거 한국의 여성들이 수동적인 모습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살았던 반면, '섭섭이'인 동시에 '진이'였던 주인공은 스스로의 삶을 개척해 나가며 당당히 자신의 행복을 주장하며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인상적이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인,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 노동자들의 현실을 우니나라 사람도 아닌 외국인이 참 잘 묘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