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인문학 1 - 현실과 가상이 중첩하는 파타피직스의 세계 이미지 인문학 1
진중권 지음 / 천년의상상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지털'이라는 말은 더이상 새로울 것이 없는, 요즘은 말 그대로 거의 모든 것이 디지털이 적용된다 싶을 정도의 디지털 시대일 것이다. 그런 시대에서 이미지가 텍스트가 되기도 하고, 텍스트를 다시 이미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을 정도릴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이런 이미지의 원리에대해서 이야기 하는데 일명 '문자로 그린 그림'이라는 이미지에 담긴 메시지를 과연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해서 이해를 돕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와 철학, 미학, 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테크놀리지로 표현된 이미지에 대해서 말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빠질 수 없는 단어가 바로 ‘파타피직스’(pataphysics)일 것이다. 디지털 테크놀리지가 만들어내는 현실과 가상, 상상과 이성, 허구와 사실의 중첩이 바로 파타피직스라고 한다. 우스꽝스러운, 부조리로 대변되는 사이비 철학이라고는 하지만 이것이 전하는 내용은 현대의 모습을 표현하는 하나의 단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우습게 볼 수 없는 단어일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 좀더 이해를 돕고자 '코끼리를 냉장고에 집어넣는 방법'을 책에서는 언급하고 있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화학, 생물학, 물리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과학적 지식이 동원해서 '상상적 해결'을 시도한다고 말한다.

 

이외에도 일본의 '진도구', 앤서니 던의 '비평적인 디자인', 건축 분야에서는 1960년대 영국의 '아키그램 운동', 종교 분야에서는 '서브지니어스 교회' 등과 같은 것이 일상에서 그 예를 발견할 수 있는 파타피직스라고 한다.

 

예로 든 것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을 처음 보았을때는 이렇게 어려운 내용이 담겨있을 줄은 상상도 못했다. 다양한 이미지들을 통해서 내용을 설명해 주기는 하는데 '파사드 프로젝트', '메타포와 파타포로', 스투디움과 푼크툼' 등과 같이 이 책을 통해서 처음 들어 본 것과 다름없는 내용들을 담고 있어서 난해했던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중권 교수의 책을 좀 더 읽어 봐야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