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뜰에 골칫거리가 산다
황선미 지음, 봉현 그림 / 사계절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나 유명한 책인 『마당을 나온 암탉』의 황선미 작가의 책이라고 하니 이 책을 더욱 읽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이번 이야기 역시도 완전히 낯설지 않게 느껴지는 것이 매력이라면 매력인 책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65세의 강 노인은 결혼도 하지 않은 사람이지만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엄청난 부를 이룬 사람이기도 하다.


그리고 강노인은 어릴적 추억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산동네 백 번지로 돌아온다. 그렇게 자신의 집에서 어린 시절의 모습을 떠올려 보게 된다. 그런 강노인의 집에 동네 골칫거리들이 자신의 집을 드나들게 되자 어떻게든 막아 보려 하지만 생각만큼 쉽지가 않다.

 

 

산동네에서도 가장 크면서 오래된 강노인의 집은 그가 오래전 소유한 그대로 자리잡고 있고 그는 그집에서 그동안 하지 못했던 일들을 해보면 자신의 인생을 살고 있었던 것인데 분명한 사유지인 그곳에, 자신의 집 뒤뜰에 아이들이 드나들고, 누군가는 텃밭을 가꾸고, 마을 사람들은 이 뒤뜰을 통해서 마을 뒷산을 오간는 상황이였던 것이다.

 

자신이 어릴적 살던 집으로 돌아온 강노인이지만 정작 자신은 뒤뜰로 가는 방법을 모르는데 그건 그가 어릴적 살았던 곳이 집이 아닌 창고였기 때문이다. 그렇게 완벽한 사유지인 뒤뜰은 집주인이 자신은 오히려 모르는체 마을 사람드은 모두가 드나드는 곳이였던 셈이다.

 

 오래 전 미국으로 입양된 적이 있었던 강노인은 창고에 살면서 뒤뜰에 가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던 아이이기도 했다. 그리고 자신의 아버지는 집주인 딸의 그네를 나무에 매주려다 떨어진 후 죽었고, 아버지가 없던 그는 결국 입양을 가야 했던 것이다.

 

그렇게 뒤뜰은 강노인에게 지난날의 아픔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장소였고, 이로 인해 강노인은 사람들이 뒤뜰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모든 길을 막아 버린다. 하지만 사람들이 출입하지 않는 뒤뜰은 오히려 더 엉망이 되어 간다.

 

강노인은 버찌마을 아이들이 예전 자신이 어릴시절 집주인 딸의 손녀이기도 하고, 손자이기도 하는 것과 같이 그곳에 예전 자신이 알던 사람들이 그대로 살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변호사를 불모두가 자신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골칫거리가 있다고 생각했던 뒤뜰은 그렇게 서로에게 소중한 공간으로 받아들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