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공화국 지구법정 9 - 바다 이야기, 과학공화국 법정 시리즈 44
정완상 지음 / 자음과모음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공화국이라 불리는 나라가 있었는데 나라 이름대로 과학을 좋아하는 삶들이 모여서 사는 곳이다. 인근에는 음악과 미술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뮤지오왕국과 아티오왕국이 각각 있었고, 공업을 장려하는 공업공화국 등의 나라가 있었다.

 

이러한 과학공화국은 과학의 범위가 넓은 대로 물리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고, 수학을 좋아하거나 지구과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기도 했다. 하지만 다른 과학들 중에서도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구과학에 관한 국민들의 수준이 높지 않아서 걱정이 되었고, 이로 인해서 지구과학에 관련된 문제로 분쟁이 끊이질 않자, 박과학 대통령은 장관들과 이 문제에 대해 해결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결국 그렇게 해서 내려진 결론은 지구과학에 의해 판결을 내리는 새로운 법정을 만드는 것에 모두가 찬성하게 되고, 지구법정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초대 지구법정 판사는 지구짱 박사가 되고, 두 명의 변호사는 지치와 어쓰였다.

 

이렇게 해서 사람들은 더이상 지구과학에 관련된 문제로 혼란을 겪지 않고 문제가 생기면 지구법정에서 그 시시비비를 가리게 된다.

 

과학공화국 지구법정 9번째 이야기는 바다 이야기로, 바다 지형에 관한 사건, 파도와 해류에 관한 사건, 바다 속에 관한 사건, 바다 속 생물에 관한 사건이 차례대로 나온다. 각각의 사건들에는 그에 해당하는 몇 가지 사건들이 속해 있는데 역시나 이번 권에서도 기상천외한 등장인물들이 시트콤 같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이야기를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한다.

 

실제로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상 기후 증상들은 지구의 환경이 오염되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책속에서는 '바다 지형에 관한 사건'에서 나오는 '섬-우리 섬이 사라져요?'에서는 이러한 영향으로 점차 해수면이 높아져 섬이 잠길 우려가 있는 과학공화국 서쪽 바다 중앙에 있는 재주국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것은 단지 책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도 볼 수 있는데, 남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투발루(Tuvalu)라는 곳이 그러하다. 1993년 이후 해수면이 무려 9cm 이상 상승했다고 하고 나라가 점점 물에 잠기고 있다는 사실을 본 적이 있다.

 

남극의 빙하가 이미 빠른 속도로 녹고 있다는 사실도 이미 알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데 책은 이런 부분을 간과하지 않고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바다 이야기라고 해서 무언가 신비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이외에도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문제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이 괜찮았던것 같다.

 

사람들이 각기 어떤 이유로 분쟁이 일어나는지를 읽을수 있고, 법정에서는 그 문제에 대해서 권있는 증인을 등장시키고, 실제 법정 공방처럼 진행되는 과정이 확실히 신선한 전재 방식이여서 지루하지 않게 책을 읽으면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