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누아르와 나 예술가와 나
밀라 보탕 글.그림, 이상미 옮김 / 한림출판사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그림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다. 그래도 보는 건 좋아한다. 오히려 잘 모르기 때문에 그림에 관련된 책을 더 좋아하는게 아닐까 싶다. 책이 그런것처럼 그림도 인간에게 충분히 감동을 선사할 수 있다. 동시에 만약 그 그림에 관련된 이야기를 알고 본다면 좀더 많은 것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동서양의 수많은 화가들이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고흐, 모네, 샤갈, 르누아르의 그림을 좋아한다. 이들 중에서 특히 르누아르의 그림은 왠지 모르게 사랑스러움이 느껴지는 그림이라고 생각되는데 이 책에서도 그런 그림들이 존재한다.

 

 

르누아르가 누굴까? 그는 어떤 그림을 그렸을까? 그 그림에 르누아르가 담고자 했던 이야기는 무엇일까? 이런 생각들을 어쩔수 없이 떠올리게 된다. 그리고 이 책은 그런 이야기들을 어렵지 않게 들려준다.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이야기하고 있지만 르누아르의 그림을 그대로 실어서 내용이 결코 부실해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이 책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둡지 않은 밝은 색채의 그림을 그린 인상파 화가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1841년 프랑스 리모주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재단사 아들로 태어난 르누아르는 이미 13세부터 도자기공장에 들어가서 도자기에 그림을 그리는 일을 했다고 한다. 이 부분을 보면 역시 르누아르는 타고 난 천재적 능력을 가졌다는 생각이 들면서 한편으로는 그 어린 나이에 도자기 공장에서 그림 그리는 일이 결코 쉽지는 않았을텐데 그의 그림에서 볼 수 없는 어려운 시기가 있었던 것 같다.

 

그래도 도자기 공장에서의 일이 색채를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니 전화위복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시기에 화가의 꿈을 꾸기 시작하면서 루브르 미술관을 다니기도 했단다. 또한 보이는 것을 느껴지는 그대로 그리는 새로운 방법을 찾은 젊은 화가들을 찾게 된다.

 

클로드 모네, 알프레드 시슬레 등과 함께 르누아르는 '인상주의 화가'라 불린다. 실제로 모네와 르누아르는 오랜 친구 사이라니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흐뭇해지는 모습이다. 한 상인의 후원을 받기도 했던 르누아르는 그림을 더 잘 그리고 싶어서 1881년 이탈리아로 떠나게 된다. 그리고 그는 그곳에서 실력도 기법도 변화를 경험한다.

 

 

이 책에서는 아이들을 위한 책이다 보니 구체적인 이야기보다는 전반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그동안 보지 못했던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하다. 예를 들면 르누아르를 세상에 소개한 샤르팡티에 부인을 그린 모습이나 자신의 세 아들을 모델로 그렸다는 그림까지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주제(무도회의 두 남녀가 춤추는 모습이나 자신을 아들을 그 린 것과 같은 같은 주제의 피카소의 그림과 비교하고 있는 점도 흥미롭다.

 

 

전반적으로 그림이 상당히 마음에 든다. 자화상이나 풍경, 자신을 후훤했던 인물들을 그린 그림 등이 부드러운 듯하면서도 밝게 그려져서 더욱 그런것 같다.

 

 

책의 말미에는 이렇게 르누아르의 인생과 관련된 인물들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하고 있고, 책속에 소개된 르누아르의 작품에 대한 소개가 나오기도 한다. 제목, 제작년도, 소장하고 있는 곳에 대한 정보가 적혀 있다. 그러니 혹시라도 책을 보면서 제목이 궁금하다면 뒤쪽으로 넘겨서 찾아 보면 될 것이다.

 

르누아르의 그림을 이토록 많이 본적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많은 작품이 수록되어 있고, 각각의 그림들이 이야기를 담고 있어서 작품 감상의 재미를 더한다. <예술가와 나>라는 시리즈로 나온 책인데 앞으로 더 많은 예술가들을 소개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만족스러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