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쓰레기 와이즈만 환경과학 그림책 1
고나영 글, 김은경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 지자체는 물론이고 개인 역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하루에도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배출되는 현실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넘쳐나는 쓰레기를 매립할 곳을 두고 각시와 지자체, 주민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기도 한다. 현재로써는 최대한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고 그것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등의 대안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쓰레기량은 문제로 다가온다.

 

 

그런데 지구에서도 골치덩어리인 쓰레기가 우주에서는 그 이상의 위협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알기란 쉽지 않다. 우주 쓰레기라니... 과연 무엇일까? 간혹 영화에서 행성 같은 것이 우주에 돌진해 오고, 그로인해 지구는 탄생 이래 최고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설정이 나오는데 이 책을 통해서 알아 본 우주 쓰레기 참으로 다양한다.

 

우주를 떠도는 모든 인공 물체를 우주 쓰레기라고 한단다. 부서진 인공위성 조각이나, 로켓 발사 후 버려진 연료통,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에서 떨어진 볼트나 너트, 인공위성끼리 부딪혀 생긴 조각까지 모두 우주 쓰레기가 되며, 우주인이 우주 정거장을 수리하다 떨어뜨린 장갑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날아가는 총알의 7배 속도로 엄청 빠르게 지구 주위를 빙빙 돌면서 날아간다고 한다. 지구에서와는 달리 공기도 중력도 없기 때문이다. 쓰레기라고 해서 단순하게 생각했었는데 의외의 물건들어 지구와 우주인, 인공 위성 등을 위협하는 것이다.

 

 

1957년 러시아에서 최초로 발사 한 인공위성은 지구 주위를 돌면서 우주 관측, 통신 중계, 대기 분석등의 일을 하게 되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수명이 다하게 되면서, 연료도 떨어지고, 부품들이 망가져서 우주 쓰레기가 된다고 한다. 이런 우주 쓰레기는 각종 지구 관측 위성들이 많이 있는 저궤도에 몰려 있기 때문에 이것을 우주 청소부들이 치운다는 것이다.

 

 

우주 쓰레기는 지구에 있는 쓰레기와는 다르기 때문에 특수한 장비들로 청소를 하게 된다. 우주 쓰레기의 빠른 속도는 사람도 청소 장비도 산산조각 낼 수 있기 때문에 청소할때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우주 쓰레기가 발생시키는 문제는 지구에 사는 사람들에게도 위협적이다. 특히 우주 쓰레기는 방사능에 오염되어 있디 때문이다.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우주 쓰레기는 치워지고 있지만 과학 기술의 발전은 우주 개발을 더욱 가속화 한다는 점에서 우주 쓰레기의 발생 가능성 역시도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 개발을 중단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 쓰레기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심각성,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이 책은 말하고 싶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