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에게 나를 맡기다 - 영혼을 어루만지는 그림
함정임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보는 건 좋아한다. 어떤 화풍의 그림인지 어느 화가의 작품인지는 몰라도 좋은 그림은 그냥 봐도 좋으니 말이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그림 분야쪽에는 잘 모르기 때문에 오히려 이쪽 분야의 책을 더 많이 보게 되니 나쁘지만은 않은것 같다.

 

게다가 요즘은 그냥 그림을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에 다양한 분야가 접목되어서 그림을 또다른 시각에서 바라본다는 점에서 더욱 흥미로롭다. 게다가 '영혼을 어루만지는 그림'이라니 눈길이 갔었던게 사실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을 듣고 보면 모르던 것도 알게 된다. 그리고 모르고 보면 자신만의 감정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단순히 그림들에 대한 설명적 내용을 담고 있기 보다는 그림과 함께 저자 자신의 개인적 이야기도 담겨져 있어서 그림에세이 같이 느껴진다.  

 

 

제법 많은 그림들이 이 책에 소개되어 있다. 완전히 생소한 것도 있고, 나름대로 많이 보아온 그림들도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본적이 있는 루벤스의 <한국 남자>가 인상적이다. 경매 시장에 나왔을 당시의 제목은 <한복 입은 남자>였다고 하는데 미국 폴 게티 미술관에 있다고 한다. 그의 이목구비에서 서양인일 것이라는 추측도 있고 이것이 안드레아 코레아라는 이름의『베니스의 개성상인』의 주인공으로 재탄생하기도 했다는 그의 존재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그러니 우리는 그속에서 역사적 사실과 허구 작품과의 관계에서 '상상'의 세계를 만날 수 있다니 <한국 남자>의 정체는 그림을 보는 이마다 다르게 나타날 것 같다. 

 

모네 <백수련>

 

 반 고흐 <꽃 핀 편도나무 가지>

 

그리고 책속에 소개된 그림들 중에서 마음에 드는 화가를 꼽자면 단연코 모네와 빈센트 반 고흐다. 그중에서도 반 고흐의 작품 <꽃 핀 편도나무 가지>는 왠지 동양적으로 느껴져서 더 좋은 것 같다. 그가 그린 최초이자 유일한 봄에 대한 환희의 표현일 것이라는 이 그림은 추운 겨울을 이겨낸 봄의 강인한 생명력을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더욱 우리나라의 민족성과 어울리는 그림이라고 생각한다.

 

그림만 보는 것도 좋고, 그 그림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과 저자의 주관적인 감상을 함께 읽는 것도 좋을것 같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