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십대를 위한 철학 교과서, 나 - 청소년, 철학과 사랑에 빠지다 꿈결 청소년 교양서 시리즈 꿈의 비행 3
고규홍 외 지음 / 꿈결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철학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무겁게 그리고 어렵게 느껴진다. 아무나 할 수 없을 것 같은 학문이 바로 철학이기도 하다. 워낙에 역사속에서 유명한 철학자들을 교과서를 통해서 만나왔기 때문에 더욱 그럴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은 십대를 위한 철학 교과서이다. 요즘 아이들 생각이 없다고들 이야기하기도 하는데 여기는 무려 '생각하는 십대를 위한'이라는 글이 제목에 떡하니 붙어 있다. 생각하는 십대를 위한 철학 교과서에서는 어떤 사상과 이념들을 십대 청소년들에게 들려 줄지 제목과 표지만큼이나 기대되는 책이다.

 

 

과거 역사속의 철학자들이 남겨둔 철학 사상과 이념들은 다양하지만 그 근본에서는 소크라테스의 말처럼 자기 스스로를 알기 위한 성찰의 과정이 아니었을까 싶다. 이 책에서는 총 열다섯 개의 이야기가 나온다. 각각에는 다양한 이들의 저서가 나온다. 열 다섯가지의 주제에 어울리는 책인 것이다. 그리고 그 주제란 것이 상당히 의미있다고 생각한다.  

 

나, 나와 우리, 나와 세계라는 주제에 걸맞는 각 5섯가지의 철학 이야기는 내가 인간으로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주제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 나아가 세계적으로 논의 가능한 주제들이다. 2장의 「나와 우리」의 경우에서 볼 수 있는 '일곱 번째 이야기 ― 정의'편은 학교 안팎으로 문제가 되고 있고, 그 심각성으로 인해서 사회적 관심이 쏠리고 있는 주제이다.   

 

 

존 롤즈의 《정의론》에서 인용해서 '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정의' 등에 대한 것들이 왕따 문제와 그 이상으로 우리들의 삶에 관여된 내용까지 담고 있어서 많은 생각거리를 제공한다.

 

왕따 문제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정의 실현의 바탕인 공정성이 상실되었음을 존 롤스의 주장에서 인용하고 있다. 즉, 왕따를 주도하는 것, 그것을 모른척하는 것도 모두가 다수가 소수에게 가하는 폭력이고 불의라는 점에서 우리 모두의 인격을 바로 세우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왕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해야 한다는 것이다.

 

 

처음 이야기를 시작할때 제시된 책 이외에도 한가지 이야기가 끝이나면 위에서 보시다시피 함께 읽어 보면 좋을 만한 책들을 따로 소개하고 있어서 그 주제 대한 좀더 깊고 넓은 생각을 키워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당장 나에게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들 이외에도 나를 둘러싼 문제들에 대해서 철학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십대를 위한 책이라기 보다는 철학을 좀더 쉽고 재밌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대상은 다양해질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