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세스 바리 - 제2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박정윤 지음 / 다산책방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리가 무슨 의미일지가 궁금했다. 어딘지 모르게 프린세스라는 서양식 표현과는 어울리지 않는 고전미가 느껴지는 이름이기에 더욱 그러했다. 그렇게 찾아 보니 바리데기 신화에 등장하는 '바리'를 떠올리게 한다. 설화라는 표현이 맞을 지도 모르겠다. 아주 오래 오래전에 어느 왕이 7번째 딸인 바비를 버리게 되고 이후 죽을 병에 걸리자 그에 버림 받았던 바리 공주가 그 병을 낫게 할 약을 구해오기를 기다리게 된다. 하지만 그 약을 구하기 위한 과정이 쉽지 않은데 온갖 고초에도 불구하고 결국 약을 구해와서 아버지를 살린다는 이야기다.

 

그런 바리의 삶이 현대에 와서 재생되는 느낌이 든다. 바리의 부모가 딸만 여섯을 낳고 아들을 바라고 난 아이가 딸인 바리이다. 그리고 산파는 바리의 부모를 설득해서 데려간다. 아주 오랜 옛날의 바리 공주가 아버지의 죽음을 살린 효자라면 현대의 바리는 죽음을 원하는 사람들을 돕는 인물로 그려진다.

 

어떻게 보면 백치의 수준으로 산파가 바리를 키우는데 그런 모습이 긍정적으로는 바리의 모습을  묘하게 만들었던 게 아닐까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한다. 맨처음 산파의 죽음을 도운 것을 계기로 다른 사람들도 죽음에 이르게 하는 바리다.

 

많은 사람의 죽음에 관련되어 있어서 일까, 바리는 소박한 행복을 꿈꾸지만 그렇지 못한다. 태어나기를 그런 업보를 안고 태어난 것일까 싶을 정도로 바리의 삶은 슬프다. 아니 슬픔을 넘어서는 고통스러움이 느껴질 정도이다. 산파의 손에 이끌려 오지 않았다면 좀더 행복했을까하는 상상을 절로 하게 될 정도 그 이후 삶이 안타깝다.

 

설화에서는 목숨을 구함으로써 그 사람에게 평화를 주고, 현실에선 죽음을 선사함으로써 평화를 주는 것이기에 현대적 결말이 훨씬 아픈 것인지도 모르겠다. 바리데기 설화에서 모티브를 가져와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점은 상당히 신선하면서도 매력적인 글이였다. 하지만 독자의 마음으로써는 바리가 좀더 행복하면 좋았을 텐데라는 마음이 계속해서 드는 그런 글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