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메랄다 산에서 인디고 섬까지 오르배 섬 사람들이 만든 지도책 2
프랑수아 플라스 지음, 공나리 옮김 / 솔출판사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오르배 섬 사람들이 만든 지도책> 시리즈 1편 <아마조네스의 나라에서 북소리 사막까지>에 이은 2편에서는 "E" 에스메랄다 산, "F" 얼음 나라, "G" 거인들의 섬, "H" 웅갈릴들의 나라, "I" 인디고 섬의 이야기가 나온다.

 

 

위의 지도에서도 볼 수 있듯이 "E" 에스메랄다 산 편에서는 지도가 알파벳 "E"를 닮아 있다. 알파벳 순서대로 나라를 소개하고 있다는 저자의 의도가 잘 표현된 부분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동시에 재밌는 표현이라 생각된다. 다른 알파벳의 나라는 또 어떤 지도가 그려져 있을지 기대하고 상상하게 되기 때문이다. 

 

"E" 에스메랄다 산

 

마치 페루 남부 쿠스코시(市)의 북서쪽 우루밤바 계곡에 있는 잉카 유적, 마추픽추 역사보호구[Historic Sanctuary of Machu Picchu]을 빼닮은 듯한 분위기를 풍기는 에스메랄다 산의 모습을 읽고 있으면 꼭 과거의 마추픽추의 역사를 읽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 일으킬 정도이다. 

 

"G" 거인들의 섬

 

이야기는 신비롭고 오히려 신화적이기기까지 해서 현실에서는 일어 날 수 없다는 것을 알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 보면 결코 지금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외부의 세력으로부터 자신의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싸우는 모습들, 그리고 그런 위기들을 종교의 힘으로 이기려고 하거나 다른 종교가 들어와 그 나라의 종교를 교화시키려고 하는 등이 이야기는 현재 일어나는 우리들의 모습이 어느 정도는 반영된 듯해서 많은 것을 생각하도록 하는 것 같다.

 

오랑캐의 침략에 나라를 지키려고 하는 다섯 도시 제국의 이야기 에스메랄다 산, 지금의 북극이나 남극을 연상시키는 얼음나라, 아무도 그 위치를 정확하게 모른다는 미지의 섬이자 칠레 이스터섬에 남아 있는 얼굴 모양의 거대 석상인 모아이[Moai]를 떠올리게 하는 거인들의 섬, 웅귀르 산맥에 사는 산적 웅갈릴들의 나라, I자 모양의 인디고 섬에 대한 이야기까지 그 나라의 지형, 동물과 식물, 그 나라 사람들의 풍습, 문화, 의복, 종교, 역사, 신화, 건축물 등에 관한 이야기까지 한편의 역사서 같은 책이다.

 

전편에 이어서 같은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알파벳 순서대로 진행되는 것 외에는 새로운 나라를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각각의 나라들에 대한 내용을 창작해 낸 작가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알파벳 순서로 된 스물여섯 나라의 이야기를 담겠다고 했는데 앞으로의 나라들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기다리고 있을지 너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