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고종 황제는 폐위되었을까? - 고종 황제 vs 이토 히로부미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50
이계형 지음, 조환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종 황제 VS 이토 히로부미 

 

한국사 속에 이토록 끔찍하고 다시 듣고 싶지 않은 관계가 있을까 싶다. 그리고 한국사에서도 굴욕을 넘어 아픔을 가장 많이 느끼게 하는 때가 바로 고종 황제때가 아닌가 싶다. 개혁의 바람을 타고 그속에서 뒤쳐진 우리나라와 그러한 나라의 왕으로써 더욱 힘든 삶을 살았던 고종 황제의 이야기는 이미 많이 알아온 것들이다.

 

억울하고 답답한 마음이 하늘같지만 이미 지나간 역사이기에 더욱 안타깝기 그지 없다. 그런데 만약 그 당시의 역사에 대해서 현재에서라도 억울함을 풀어 보고자 한다면 과연 그 결과는 어떻게 될까?

 

 

그런 바람을 이 책의 시리즈는 담아 내고 있다.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이라는 독특한 설정으로 시작되는 이 책에서는 대한제국의 고종 황제가 왜 폐위되었는지와 그러한 이면에는 과연 일본의 어떤 계략이 숨겨져 있었는지를 담고 있다.

 

그리고 책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이 내용이 중, 고등학교 한국사에서는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교과서와 연계해서 보여준다.

 

 

고종 황제는 자신이 강제로 폐위되어 뒷방 늙은이처럼 역사에 남겨져 있을 것이란 생각에 김딴지 변호사를 불러서 자신의 억울함을 풀어 달라고 말한다. 그래서 김딴지 변호사는 원고를 고종 황제로 하고 피고를 이토 히로부미로 하여 소송을 제기한다. 

 

 

본격적인 법정 이야기로 들어가기에 앞서서 고종 황제가 폐위되었던 당시의 상황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나온다.

 

 

 이번 소송에서 밝혀야 할 주된 내용이다. 그리고 동시에 고종 황제가 그토록 바라는 진실일지도 모른다.

 

 

한국사법정이라는 말에 어울리에 정식으로 소장을 제기하고 실제로 각각의 변호사가 나와서 이야기를 진행하는 과정은 이미 지나간 역사임에도 상당히 현실적으로 다가오게 하고 긴박감까지 느껴진다.

 

 

그리고 진짜 법정에서와 진행되는 것처럼 다양한 증거자료가 나온다. 실제로 그 당시에 발행된 신문같은 자료들을 동시에 볼 수 있어서 한국사에 대해 좀 더 사실적이고 자세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는 점도 상당히 매력적인 책이다.  

 

 

특히 최후 변론 부분에서는 고종 황제와 이토 히로부미의 극명한 입장 차이를 다시금 느낄 수 있다. 대한제국의 자주권을 지키려고 했던 고종 황제의 노력은 을사조약을 통해서 자신들의 야욕을 만족시키려 했던 일본에겐 눈의 가시였을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극단적이자 최후의 선택으로 고종 황제를 폐위시키고 자신들의 생각대로 할 수 있는 순종 황제를 내세웠던 것이다.

 

그러한 억울함과 아픔, 나아가 그러한 상황을 만든 장본인들의 뻔뻔한 속내들까지 이 책은 담아내고 있어서 역사의 진실을 다시금 되돌아 보게 한다.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은 원고 고종 황제가 피고 이토 히로부미를 상대로 제시한 한국 침략에 따른 국제법 위반, 을사조약 무효, 폐위의 부당성에 대해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린다고 말하고 있다. 비록 이러한 결정이 현실에서는 일어나지 않을 것임을 안다. 하지만 적어도 역사의 진실 만큼은 제대로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